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학생 · 학부모 · 동료교사 등으로부터 교사들이 주기적으로 업무성과를 평가받도록 하는 교원평가제에 찬성하고 나서면서 6년간 끌어온 교원평가제 도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전국 초 · 중 · 고교 교사의 45%가량(18만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는 교총은 지난 10일 400여명의 하부 조직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충북 제천에서 열린 '시 · 군 · 구 조직대표자 회의'에서 "교원평가제에 찬성한다"는 내용을 담은 결의문을 채택했다.

교총은 그간 교원평가제에 소극적이었다. 겉으로는 "실시돼야 한다"고 밝혔지만 "성급하게 추진하기보다는 시일을 두고 차근차근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교총이 태도를 바꿔 '즉각 수용'을 천명하고 나선 이유는 여론의 압박 때문이다. 교육 개혁의 핵심인 교원평가제 도입이 지지부진한 것은 교사들의 이기심 때문이라는 비판 여론이 증폭되고 있어서다. 이원희 교총 회장은 1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도 선생으로서 심리적으로 얼마나 (교원평가제가) 어려운지 잘 알고 공감하지만,교사들이 희화화되고 이기적 집단으로 불신받는 것보다는 당당한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교원평가제가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으면 시 · 도 조례를 통해서라도 내년부터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교사들을 압박한 것도 교총에는 부담이 됐다. 이 회장은 "시 · 도 조례로 교원평가제를 실시하는 것은 교육청 단위로 정책이 다르게 추진돼 오히려 혼란만 불러올 수 있다"고 반대하며 "국회에 상정된 법안에 찬성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에 상정된 법안은 교원평가제 결과를 교사 연수 등에 연계시키되 인사와 직접 연계하는 것은 배제하고 있다.

교총의 입장 선회로 '고립무원'이 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태도를 바꿀지도 주목된다. 7만여명의 조합원을 보유한 전교조는 지난해 언론에 개인적으로 교원평가제 찬성 입장을 밝힌 대변인을 경질했을 정도로 부정적이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