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농업현장 방문..2개월여만에 현장회의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인천 강화군의 한 중소 쌀 가공업체에서 `제25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했다.

비상경제 현장 점검회의는 지난 6월 4일 경기도 용인의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열린 이후 2개월여 만으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쌀 재고 증가에 대한 대책을 직접 챙기겠다는 취지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직후인 3월 5일 첫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연간 쌀 보관료가 6천억원이나 되는데 이런 보관 비용을 감안하면 묵은 쌀값을 낮춰 기회비용의 개념으로 처리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하는 등 쌀 재고문제에 대해 여러차례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한스코리아를 방문, 회사 관계자로부터 쌀을 원료로 한 각종 제품을 소개받은 뒤 회의 참석자들과 쌀 소비 촉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농민을 위해 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면 좋겠다"면서 "쌀 막걸리, 쌀 건빵 등 쌀을 원료로 한 각종 제품의 원료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쌀을 2~3년 보관하는 것보다 남는 쌀은 저렴하게 공급하자"며 "그러면 정부는 쌀 재고 보관비용도 줄일 수 있고, 쌀제품 생산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양질의 쌀을 확보해 제품을 만들 수 있어 제품단가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또 "쌀이 2년 이상 지나면 싸지지 않느냐. 이럴 때 소비하면 된다"고 거듭 강조한 뒤 "쌀소비를 늘려야 농민들이 산다"면서 "나도 앞으로 쌀라면을 먹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밀은 멀리서 가져오는데 쌀은 (우리 땅에서 나기 때문에) 건강식"이라며 "군 장병들이 먹는 건빵도 쌀로 만들어서 많이 보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재고쌀 공급가 인하에 대해) 구체적인 비용 비교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윤증현 장관을 비롯해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한나라당 김성조 정책위의장, 김기환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과 최원병 농협중앙회장, 신영철 쌀가공식품협회장, 손욱 농심 회장, 배중호 국순당 사장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쌀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고 쌀의 공급가격을 낮춰 밀 가격과의 차이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아울러 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현장점검 회의를 마친 뒤 강화군 농업기술센터를 찾아 정부가 시행중인 `농기계 은행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