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國葬)으로 엄수되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의식에서는 노제(路祭)가 열리지 않을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0일 "노제는 하지 않기로 유족 측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달곤 행안부 장관은 19일 저녁 열린 국무회의 직후 브리핑에서도 "현재까지는 유가족 측에서도,정부 측에서도 노제를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번에는 빈소와 분향소,영결식장이 뜻 깊은 민의의 전당인 국회의사당이라는 것이 아주 중요한 부분이 됐다"고 설명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국무회의 때 노제는 치르지 않기로 했다고 보고했다"며 "영결식 직후 국립 서울현충원으로 운구하는 동안 노제와 같은 장례의식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장례일인 2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마당에서 영결식이 끝나면 김 전 대통령의 유해를 실은 운구행렬은 노제와 같은 별도의 의식 없이 장지인 동작동 국립 서울현충원으로 곧바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김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행안부와 노제와 관련해 논의하고 있는데 아직 합의가 안 됐으며,노제를 포함한 국장의 공식 절차들은 차후 발표할 것"이라고 말해 노제가 열릴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합의가 된 것으로 발표한 사실에 대해 이 여사에게 여쭤봐야 하겠지만 (우리는) 아직 확정된 게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 측에 따르면 노제 개최 여부가 최종 결정된 게 아닌 셈이다. 19일 저녁까지만 해도 유가족 측 주변에서는 서울광장 또는 광화문광장에서 노제를 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말이 흘러나왔다.

지난 5월29일 치러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때에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 발인제와 서울 경복궁 흥례문 앞뜰의 영결식에 이어 화장을 위해 경기 수원 연화장으로 운구되기 전 서울광장에서 노제가 치러졌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