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어제 미래녹색경영 국제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녹색산업 육성을 위해 맞춤형 자금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녹색산업의 발전 단계별로 자금 유입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재정 및 세제 지원, 전용펀드 조성 등 맞춤형 자금 유입 메커니즘을 구축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결정이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을 통해 오는 2013년까지 그린카 4대 강국, 주력산업 녹색제품 수출 비중 15%,녹색기술 제품 세계시장 점유율 8% 등의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제시했지만 이런 장밋빛 꿈을 이루기 위해선 적극적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의 녹색산업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한 게 솔직한 현실인 까닭이다. 덴마크 스웨덴 독일 일본 등 신 · 재생 에너지 분야 선도국들이 이미 1970년대부터 활발한 투자를 시작한 것에 비하면 늦어도 한참 뒤늦은 만큼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부는 녹색 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책의 세부적 내용과 실행계획을 최대한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최근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발전 등 그린에너지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는 기업이 늘고 있지만 채산성 문제 등으로 인해 본격적 투자에 나서기를 꺼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구체적 투자 유인책이 나와야 기업들이 녹색 신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나서고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 창출 노력도 본격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우리가 단시일내에 녹색 선진국으로 도약(跳躍)하기 위해선 민관이 혼연일체가 돼 투자확대와 기술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