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아직은 때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북한 조문단이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해 '남북 정상회담을 희망한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청와대는 24일 "일절 거론된 바 없다"고 공식 부인했다. 다만 북한 조문단이 남측 인사들을 만난 자리에선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청와대는 무엇보다 핵문제에 대해 북한이 전향적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선뜻 나설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가 향후 남북 관계에 대해 '패러다임 시프트'를 언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도와줄 것이며 대화는 어떤 수준이든 할 수 있다는 게 이 대통령의 일관된 대북정책"이라며 "다만 과거와 같은 방식의 남북 정상회담이나 대화는 안 된다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열린 태도로 대화를 할 수 있지만 끌려다니는 식이나 국면 전환을 위한 전술적 차원은 안 된다는 게 우리 정부의 확고한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핵 폐기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으면서 대화 공세를 펴고 나선 데 대한 속뜻을 살펴 보는 게 우선이란 것이다. 2차 핵실험 후 대북 제재가 이행되는 상황에서 북측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가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한 일시적 전술일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