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잇따라 사회적 책임과 기여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기업모델 창출 전략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업 설립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들이다. 어제 노동부와 미래기획위원회 주최로 열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사회적 기업구상'심포지엄에서 현대 · 기아차,SK,포스코그룹 등은 대규모 기금을 조성해 비영리법인 형태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창업지원 등을 확대하는 방안을 밝혔다.

이 같은 움직임은 그동안의 사회공헌활동(CSR)을 넘어,취약계층에 필요한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사업을 벌이는 기반을 마련해주고 그 이윤을 저소득층 일자리나 복지증진에 재투자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한층 차원을 높인 사회공헌방식이다. 보다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형태로서 지대한 관심을 갖는 이유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그 방식을 둘러싸고 줄곧 논란이 빚어져 왔지만 중요성에 대해서는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또 사회공헌 확대가 바람직한 일임에는 틀림없다.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성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많이 나와 있다. 어제 심포지엄에서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 "기업의 사회공헌은 베푸는 쪽과 받는 쪽 모두에게 시너지 효과가 있는 효율적 수단"이라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脈絡)이다.

그런 점에서 대기업들의 사회적 기업 육성이 실효성있게 추진되고 결실을 맺을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사회적 기업을 활성화하고 지속성이 확보되려면 설립주체인 대기업들의 기여도에 걸맞은 정부의 관심과 지원,자립기반을 갖출 수 있게 하는 시장조성 노력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들이 뒷받침된다면 보다 다양한 사회적 기업 형태가 발굴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같은 사회적 기업 육성은 어디까지나 대기업들의 자발적 의지에 맡겨져야 할 일이지 사회 분위기로서 강요되거나 정부의 간접적인 규제 형태로 흘러서는 결코 안된다. 이는 오히려 사회적 기업 육성의 취지를 훼손한다는 점에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