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 땅값 0.21%↑…하남 0.9% '최고'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땅값이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땅값 상승률도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경기도 하남시가 미사지구 보금자리 시범지구 등의 개발 기대감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7월 전국의 땅값은 전달보다 0.21% 올라 지난 4월(0.06%) 이후 넉달째 오름세를 이어갔다고 26일 밝혔다.
지가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했으나 지난 4월부터 반등해 지난달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지가 수준은 지난해 1월 고점대비 4.7% 하락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땅값은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하락하다가 4월부터 소폭 상승세로 돌아섰다. 현재 땅값은 지난해 10월 고점대비로는 4.7% 하락한 수준이다.
지역별로 서울(0.28%), 인천(0.31%), 경기(0.30%) 등 수도권의 상승률이 전국 평균(0.21%) 보다 높았고 지방(0.03~0.12%)은 큰 변동이 없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하남시가 0.90%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안산시 단원구(0.68%)와 부천시 소사구(0.55%)도 지역개발 사업의 영향으로 많이 올랐다. 서울~춘천고속도로 개통으로 경기 양평군(0.50%)도 강세를 나타냈다.
이어 강남구(0.31%)와 송파구(0.29%)는 서울지역 평균 상승률(0.28%)을 웃돌았으나 서초구(0.25%)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과천(0.42%)과 평촌(0.22%), 분당(0.16%)도 올랐다.
반면 광주 동구(-0.02%)와 북구(-0.019%), 강원 고성(-0.015%), 전북 익산(-0.014%), 강원 강릉(-0.012%) 등은 하락했다.
지난달 토지거래량은 22만1707필지, 2억638만5000㎡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필지수는 9.4%, 면적은 8.4% 각각 줄었다. 전달에 비하면 필지수는 3.1% 늘고 면적은 15.5%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용도미지정(-40.2%)과 상업지역(-30.3%)은 줄어든 반면 개발제한구역(67.8%)과 자연환경보전지역(8.8%)은 늘었다.
지목별로는 공장용지(-23.6%)와 임야(-13.0%)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필지수 기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특히 경기도 하남시가 미사지구 보금자리 시범지구 등의 개발 기대감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7월 전국의 땅값은 전달보다 0.21% 올라 지난 4월(0.06%) 이후 넉달째 오름세를 이어갔다고 26일 밝혔다.
지가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했으나 지난 4월부터 반등해 지난달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지가 수준은 지난해 1월 고점대비 4.7% 하락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땅값은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하락하다가 4월부터 소폭 상승세로 돌아섰다. 현재 땅값은 지난해 10월 고점대비로는 4.7% 하락한 수준이다.
지역별로 서울(0.28%), 인천(0.31%), 경기(0.30%) 등 수도권의 상승률이 전국 평균(0.21%) 보다 높았고 지방(0.03~0.12%)은 큰 변동이 없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하남시가 0.90%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안산시 단원구(0.68%)와 부천시 소사구(0.55%)도 지역개발 사업의 영향으로 많이 올랐다. 서울~춘천고속도로 개통으로 경기 양평군(0.50%)도 강세를 나타냈다.
이어 강남구(0.31%)와 송파구(0.29%)는 서울지역 평균 상승률(0.28%)을 웃돌았으나 서초구(0.25%)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과천(0.42%)과 평촌(0.22%), 분당(0.16%)도 올랐다.
반면 광주 동구(-0.02%)와 북구(-0.019%), 강원 고성(-0.015%), 전북 익산(-0.014%), 강원 강릉(-0.012%) 등은 하락했다.
지난달 토지거래량은 22만1707필지, 2억638만5000㎡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필지수는 9.4%, 면적은 8.4% 각각 줄었다. 전달에 비하면 필지수는 3.1% 늘고 면적은 15.5%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용도미지정(-40.2%)과 상업지역(-30.3%)은 줄어든 반면 개발제한구역(67.8%)과 자연환경보전지역(8.8%)은 늘었다.
지목별로는 공장용지(-23.6%)와 임야(-13.0%)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필지수 기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