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채널 등장은 고품질 방송콘텐츠 확산에 기폭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트 미디어법 콘텐츠산업 발전' 세미나
지상파 3사 독과점 벗어나 무한경쟁 개막
신규 사업자에 간접광고 먼저 허용해야
지상파 3사 독과점 벗어나 무한경쟁 개막
신규 사업자에 간접광고 먼저 허용해야
미디어법 개정으로 연말께 종합편성 채널 및 보도전문 채널 사업자가 선정될 경우 방송시장이 다원화돼 광고시장이 커지는 것은 물론 고품질의 방송 콘텐츠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종편 채널의 등장은 기존 지상파방송 위주의 콘텐츠 제작 관행에서 벗어나는 계기로 작용,국내 방송 콘텐츠의 세계 시장 진출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분석됐다.
◆방송시장 선순환 효과 기대
방송통신위원회는 12월께 2개의 종편 채널 사업자와 1개의 뉴스전문 채널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종편 채널은 보도 오락 교양 스포츠 등 기존 지상파방송처럼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할 수 있어 새로운 지상파채널이 생겨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 때문에 국내 방송시장은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의 독과점 체제에서 종편 채널과의 무한 경쟁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26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열린 '포스트 미디어법 시대의 콘텐츠산업 발전 방안'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미디어법 개정에 따른 방송시장 판도 변화가 국내 방송시장에 선순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송종길 경기대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대기업 · 신문의 방송 진출→신규 채널 등장 등 시장 다원화→방송광고 규제 완화 등으로 방송광고시장 확대→고품질 방송콘텐츠 확산'의 선순환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그러나 "종편 사업은 설립 비용만 3000억~4000억원이 소요되고 초기 연도 운영 비용은 2000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등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며 "신규 매체인 종편 채널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상파 인접채널 번호를 부여하는 방안 등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종편 채널 2개,보도 채널 1개를 선정할 경우 최소 1조2000억원의 신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금의 일부를 콘텐츠 산업진흥기금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방송광고시장 4조원대로 급팽창
방송법 개정으로 가상광고와 간접광고(PPL)가 허용되는 것도 시장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가상광고는 운동경기 중계 프로그램에 한해 도입되는데 축구경기장에는 실제 없는 광고를 TV 화면에 입혀 시청자에게만 보여주는 광고기법이다. 송 교수는 가상광고 시장 규모는 연간 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드라마 등의 방송 소품 브랜드를 노출해주는 간접광고도 지상파방송에까지 허용돼 연간 시장 규모는 1600억~19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방송광고 규제 완화로 인해 방송시장 규모가 1900억~2200억원가량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송 교수는 "장의광고 등 방송광고 금지 품목 완화 등으로 3조3000억원 안팎인 국내 방송광고시장이 4조1000억원으로 팽창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승수 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총장은 "간접광고는 종편 채널과 민영방송 등에 먼저 허용하고 KBS 등 공영방송에는 순차적으로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역(逆)발상으로 방송콘텐츠 글로벌화
두 번째 주제 발표에 나선 김문연 TV코리아 대표는 글로벌 방송콘텐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미디어보다는 콘텐츠 위주의 글로벌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TN 등 국내 미디어 기업이 해외 진출해 있으나 겨울연가(KBS) 대장금(MBC) 식객(SBS) 등 방송 콘텐츠가 해외에서 큰 성과를 냈다는 이유에서다. 김 대표는 "영화나 드라마에 삼성전자 LG전자의 제품을 간접광고 형태로 노출하는 등의 역발상으로 한국의 세계 초일류 제품을 콘텐츠에 반영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상파방송과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이 해외시장을 겨냥해 합작사업에 나서는 등 공조 노력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온 심원필 CJ미디어 경영기획실장 상무는 "국내에서는 시장 규모가 협소하거나 방송콘텐츠 대가를 제대로 지불하지 않는 관행 등으로 콘텐츠 사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CJ미디어는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해 새로운 수익 기반을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CJ미디어가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상당수 방영하는 tvN 채널의 경우 시간당 평균제작비가 5500만원이지만 시간당 매출은 4200만원에 불과해 적자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심 상무는 "국내 콘텐츠 기업이 해외에서 경쟁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부터 없애야 한다"며 "콘텐츠 펀드,방송 인프라 구축 등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
◆방송시장 선순환 효과 기대
방송통신위원회는 12월께 2개의 종편 채널 사업자와 1개의 뉴스전문 채널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종편 채널은 보도 오락 교양 스포츠 등 기존 지상파방송처럼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할 수 있어 새로운 지상파채널이 생겨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 때문에 국내 방송시장은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의 독과점 체제에서 종편 채널과의 무한 경쟁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26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열린 '포스트 미디어법 시대의 콘텐츠산업 발전 방안'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미디어법 개정에 따른 방송시장 판도 변화가 국내 방송시장에 선순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송종길 경기대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대기업 · 신문의 방송 진출→신규 채널 등장 등 시장 다원화→방송광고 규제 완화 등으로 방송광고시장 확대→고품질 방송콘텐츠 확산'의 선순환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그러나 "종편 사업은 설립 비용만 3000억~4000억원이 소요되고 초기 연도 운영 비용은 2000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등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며 "신규 매체인 종편 채널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상파 인접채널 번호를 부여하는 방안 등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종편 채널 2개,보도 채널 1개를 선정할 경우 최소 1조2000억원의 신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금의 일부를 콘텐츠 산업진흥기금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방송광고시장 4조원대로 급팽창
방송법 개정으로 가상광고와 간접광고(PPL)가 허용되는 것도 시장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가상광고는 운동경기 중계 프로그램에 한해 도입되는데 축구경기장에는 실제 없는 광고를 TV 화면에 입혀 시청자에게만 보여주는 광고기법이다. 송 교수는 가상광고 시장 규모는 연간 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드라마 등의 방송 소품 브랜드를 노출해주는 간접광고도 지상파방송에까지 허용돼 연간 시장 규모는 1600억~19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방송광고 규제 완화로 인해 방송시장 규모가 1900억~2200억원가량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송 교수는 "장의광고 등 방송광고 금지 품목 완화 등으로 3조3000억원 안팎인 국내 방송광고시장이 4조1000억원으로 팽창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승수 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총장은 "간접광고는 종편 채널과 민영방송 등에 먼저 허용하고 KBS 등 공영방송에는 순차적으로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역(逆)발상으로 방송콘텐츠 글로벌화
두 번째 주제 발표에 나선 김문연 TV코리아 대표는 글로벌 방송콘텐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미디어보다는 콘텐츠 위주의 글로벌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TN 등 국내 미디어 기업이 해외 진출해 있으나 겨울연가(KBS) 대장금(MBC) 식객(SBS) 등 방송 콘텐츠가 해외에서 큰 성과를 냈다는 이유에서다. 김 대표는 "영화나 드라마에 삼성전자 LG전자의 제품을 간접광고 형태로 노출하는 등의 역발상으로 한국의 세계 초일류 제품을 콘텐츠에 반영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상파방송과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이 해외시장을 겨냥해 합작사업에 나서는 등 공조 노력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온 심원필 CJ미디어 경영기획실장 상무는 "국내에서는 시장 규모가 협소하거나 방송콘텐츠 대가를 제대로 지불하지 않는 관행 등으로 콘텐츠 사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CJ미디어는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해 새로운 수익 기반을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CJ미디어가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상당수 방영하는 tvN 채널의 경우 시간당 평균제작비가 5500만원이지만 시간당 매출은 4200만원에 불과해 적자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심 상무는 "국내 콘텐츠 기업이 해외에서 경쟁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부터 없애야 한다"며 "콘텐츠 펀드,방송 인프라 구축 등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