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기업실사지수 전망치 상승…경기회복 기대감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4분기에도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156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9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112로 지난 분기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최근 환율이 안정되고, 주가가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민간 소비심리도 살아나고 있어 기업들이 향후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응답업체 분포를 보면 4분기 경기가 전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한 업체가 29.4%(389개사)로 경기악화를 예상한 경우 17.2%(228개사)보다 많았다. 경기상황이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3.4%(706개사)였다.
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내수(103→113), 수출(104→114)이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설비가동률(117), 생산량(118), 설비투자(104)등도 생산활동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원재료가격(63), 경상이익(95), 자금사정(97)등은 여전히 기준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19)과 중소기업(111) 모두 기준치를 상회하며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의 경우 설비가동률(124), 생산량(122), 내수(119), 수출(119), 경상이익(112) 등이 크게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중소기업 역시 설비가동률(116), 생산량(118), 수출(114) 등에서 호조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147), 출판인쇄(143), 전기기계(127) 등 거의 대부분의 업종에서 전분기보다 4/4분기에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조선(86), 조립금속(93), 목재/나무(67) 등은 여전히 기준치(1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은 4분기 예상되는 최대 경영애로 요인으로 원자재(29.1%)를 가장 많이 꼽아 원자재가격 상승을 걱정하는 기업들의 불안심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기업들은 자금(27.3%), 환율(20.0%), 인력(7.8%), 임금(4.5%), 금리(3.9%), 노사(1.5%)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세계경제의 회복을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고 현재의 회복세가 정부의 경기부양 조치와 원화값 하락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는 만큼 기업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156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9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112로 지난 분기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최근 환율이 안정되고, 주가가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민간 소비심리도 살아나고 있어 기업들이 향후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응답업체 분포를 보면 4분기 경기가 전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한 업체가 29.4%(389개사)로 경기악화를 예상한 경우 17.2%(228개사)보다 많았다. 경기상황이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3.4%(706개사)였다.
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내수(103→113), 수출(104→114)이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설비가동률(117), 생산량(118), 설비투자(104)등도 생산활동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원재료가격(63), 경상이익(95), 자금사정(97)등은 여전히 기준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19)과 중소기업(111) 모두 기준치를 상회하며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의 경우 설비가동률(124), 생산량(122), 내수(119), 수출(119), 경상이익(112) 등이 크게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중소기업 역시 설비가동률(116), 생산량(118), 수출(114) 등에서 호조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147), 출판인쇄(143), 전기기계(127) 등 거의 대부분의 업종에서 전분기보다 4/4분기에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조선(86), 조립금속(93), 목재/나무(67) 등은 여전히 기준치(100)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은 4분기 예상되는 최대 경영애로 요인으로 원자재(29.1%)를 가장 많이 꼽아 원자재가격 상승을 걱정하는 기업들의 불안심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기업들은 자금(27.3%), 환율(20.0%), 인력(7.8%), 임금(4.5%), 금리(3.9%), 노사(1.5%)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세계경제의 회복을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고 현재의 회복세가 정부의 경기부양 조치와 원화값 하락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는 만큼 기업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