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포로 소련 강제 이송설(說)'은 결국 설로 끝나는가. 6 · 25 전쟁 중 시베리아로 옮겨진 국군포로를 찾기 위한 국방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지 못했다.

국방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7월까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를 통해 '국군포로 소련 이송설'을 조사한 결과 결정적 단서를 찾지 못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27일 밝혔다. 몇몇 흔적을 찾았지만 구체적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조사단은 7개월여 동안 구 소련 강제수용소가 있던 시베리아 마가단 지역을 방문,국군포로의 흔적을 수소문했다. 미국과 러시아가 작성한 미군포로 및 실종자에 대한 연구 보고서도 수집했고,탈북자 등 국내외 관련자 100여명도 인터뷰했다.

한때 조사 과정에서 '소련 이송에 관한 문서를 확인했다'는 증언을 확보한 적도 있다. 1958년 함북 양정국(糧政局) 공급과장으로 근무한 탈북자 박모씨가 "강제 이송된 국군포로가 있는 소련 핫산역으로 옥수수를 보냈다는 문서를 본 적이 있다"고 진술한 것이다. 박씨의 진술은그러나 1954년부터 1979년까지 반공주의자로 찍혀 소련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에서 복역하던 박재욱씨와 임동열씨의 정반대 진술에 묻혀버렸다. 두 사람은 인터뷰에서 "관련 사실을 듣지 못했다"고 답했다. 마가단에서 500㎞ 떨어진 콜리마의 한 광산수용소에 있던 수형자들에 대한 조사에서도 "다수의 한국인을 목격했으나 6 · 25 전쟁 국군포로인지는 불분명하다"는 증언만 수집했다.

증거 불충분으로 일단 조사를 마친 국방부는 러시아 정부의 협조가 없었던 점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가보안국과 내무성이 문서보관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줬다면 조사를 보다 명쾌하게 마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인터넷을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요즘에 강제 이송된 국군포로가 있다면 언제든 나타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