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이번 주 초로 예상됐던 개각이 이번 주말 이전으로 늦춰졌다.

이명박 대통령이 공을 들여 온 '심대평 총리 카드'가 무산되면서 개각 구상에 일정 정도 차질이 생긴 데다 나머지 후보군에 대한 검증 작업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총리 후보군은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강현욱 전 전북지사를 포함해 3,4명가량으로 압축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개각 대상 부처는 5,6개 정도다.


◆총리 후보는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새 총리 인선의 기본 '컨셉트'와 관련,"화합과 통합,도덕성이 주된 개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덕성이 중요한 화두가 되면서 자기 진술서 작성 등 보다 엄격한 검증 작업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인선의 개념이 화합과 통합으로 잡히면서 야당 출신 및 호남 · 충청권 인사들이 거론되고 있다. 우선 김 전 수석과 강 전 지사가 유력 후보로 물망에 오른 것은 이런 맥락이다. 김 전 수석은 17대 민주당 의원(비례대표)을 지낸 야당 인사다. 강 전 지사는 지사 시절 새만금 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한 게 이 대통령의 마음을 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강 전 지사는 대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의 새만금 공약을 짜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직 인수위 '새만금TF팀장'도 지냈다.

총리 후보엔 김 전 수석과 강 전 지사 이외의 새 인물 발탁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비 후보 중엔 여성 한 명도 있는 것으로 전해져 주목된다.

여권 일각에선 신인령 전 이화여대 총장과 장명수 전 한국일보 사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당초 유력한 후보로 꼽혔던 이원종 전 충북지사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전윤철 전 감사원장,진념 전 경제부총리 등은 발탁 가능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막판까지 지역 화합 차원에서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를 의중에 두고 있었지만 이회창 선진당 총재의 강한 반대로 결국 '없던 일'로 됐다. 총리를 맡지 않겠다는 심 대표의 이날 기자회견으로 이 대통령의 구상이 다소 어그러진 것으로 보인다.


◆개각은 5,6개 부처

개각 대상 부처는 5,6개 정도로 잡혔으며 후보들을 놓고 막판 검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정무장관직 신설은 유동적이나 그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치인 입각은 2명 정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초 임명된 기획재정부,통일부,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개각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통상부,농림수산식품부장관도 유임쪽에 무게가 실린다.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국방부,노동부,환경부,문화체육관광부,법무부 등이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지식경제부 장관에는 최경환 한나라당 의원의 기용이 유력하다. 정무장관직이 신설될 경우엔 임태희 주호영 의원 중 한 명의 기용 가능성이 점쳐진다.

법무부 장관이 교체된다면 후보로 권재진 전 서울고검장,문효남 전 부산고검장,신상규 전 광주고검장 등이 오르내리고 있다.

국방부 장관에는 김관진 김종환 전 합참의장과 김인종 경호처장 등이 물망에 올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는 나경원 정병국 의원이 거명되고 있으나 유인촌 장관의 유임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