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인선과정에서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화합과 통합,소통을 내세우며 이런저런 논란도 있었지만 행정 전반을 챙겨야 하는 총리에 대학에서 주로 활동해온 정통 경제학자가 기용됐다는 점에 주목한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아직 남아있는 상황에서 비정규직 등 노동 · 고용 문제를 비롯해 기업과 금융의 구조조정,서민지원과 중산층 육성 등 산적(山積)한 경제현안이 최우선적으로 감안된 인사라고 본다.
그런 점에서 여론은 내각 내부의 소통과 화합,일관성에 안정감 있는 정책의 실현 여부부터 주시할 것이다. 가뜩이나 최근 청와대 개편에서 경제특보가 신설됐고 경제수석은 직급이 올라간 정책실장까지 겸하게 돼 경제부처와 화합 여부에 주목하는 시각이 분명히 있다. 또 거시경제 · 금융쪽은 장관 교체자가 없는 상황에서 정치권의 현직 의원들이 실물경제 총괄부처와 노동부를 새로 맡게 됐다. 어느 한쪽에서라도 독주를 하거나 긴장을 늦추면 청와대 따로,총리 따로,부처 따로의 제각각에 사공만 많아지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 더구나 이 대통령의 임기나 향후 선거일정 등을 감안할 때 이제부터 청와대가 각종 개혁정책에 적극 나설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총리의 역할은 매우 가변적(可變的)이라고 보는게 현실적이다. 행정경험이 다소 부족한 정 내정자가 귀를 기울여야 할 지적이다.
그간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했던 정부 · 여당간 소통의 문제도 2기 내각에서는 확실하게 극복해야만 한다. 당 · 정간에 수시로 엇박자를 내면서 국민들과 소통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번에는 3명의 장관이 한나라당에서 기용된데다 특히 특임장관직까지 신설해 이 대통령의 '측근'이 기용된 만큼 여당을 넘어 야당과도 원만하게 소통하길 바란다. 이번 정기국회에서 다뤄야 할 각종 민생현안의 원만한 처리는 이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정치 총리가 아니라 경제 총리가 기용됨에 따라 MB정부 2기 내각은 실무형 · 행정형이라고 볼 수 있다. 화합과 소통,경제위기 극복 만이 아니라 2차 핵실험 강행 이후 남북경협 문제 등 대북관계 개선,반세기 만에 정권이 교체된 일본과의 관계 등 대외 현안도 실용적 관점에서 잘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