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태 총재 "금리 올려도 긴축 아닐 수 있다"…금리 인상시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금리를 올려도 긴축이 아닐 수 있다”는 뜻을 밝히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금융완화는 강도가 강한 상태로 금리 변동 방향만으로 완화냐, 긴축이냐를 말할 수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대체로 개선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하반기에도 2분기와 같은 급격한 정도는 아니지만 플러스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며 기존 한은 전망치(연간 -1.6%)보다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 등과 관련한 공조 움직임에 대해서는 "각국 또는 기관별 독자성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출구전략과 관련해선 각자 처한 위치에서 자기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며 "어떤 시점에서 적절한 정책이냐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물가보다는 집값 등 자산가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금리 인상 시사에 자산 가격에 대한 우려가 반영돼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당장 물가나 국제수지에 큰 문제는 없다"며 "주택 쪽만 안정되면 현재 경기나 고용을 위해 쓰고 있는 통화정책 기조를 당분간 끌고 가도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당분간 2~3%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주택 관련 우려가 당장 추가적인 조치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도 곁들였다. 이 총재는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가 내려졌지만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당분간 대출와 규제 효과의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곁들였다. 그는 "주요 선진국의 경제가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의 결과여서 하반기 이후 내년까지 경기회복이 본격화될 것이냐는 자신감은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시장 안정 대책과 관련, "자본 유출입 관련 거의 모든 규제를 철폐해 외국 자본이 많이 들락날락하면서 국내 주가와 금리, 유동성, 환율, 금융기관 건전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우리 경제 금융 시스템의 저항력과 흡수력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며 "외국자본의 유출입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것이냐가 가장 큰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금융완화는 강도가 강한 상태로 금리 변동 방향만으로 완화냐, 긴축이냐를 말할 수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대체로 개선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하반기에도 2분기와 같은 급격한 정도는 아니지만 플러스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며 기존 한은 전망치(연간 -1.6%)보다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 등과 관련한 공조 움직임에 대해서는 "각국 또는 기관별 독자성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출구전략과 관련해선 각자 처한 위치에서 자기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며 "어떤 시점에서 적절한 정책이냐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물가보다는 집값 등 자산가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금리 인상 시사에 자산 가격에 대한 우려가 반영돼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당장 물가나 국제수지에 큰 문제는 없다"며 "주택 쪽만 안정되면 현재 경기나 고용을 위해 쓰고 있는 통화정책 기조를 당분간 끌고 가도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당분간 2~3%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주택 관련 우려가 당장 추가적인 조치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도 곁들였다. 이 총재는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가 내려졌지만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당분간 대출와 규제 효과의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곁들였다. 그는 "주요 선진국의 경제가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의 결과여서 하반기 이후 내년까지 경기회복이 본격화될 것이냐는 자신감은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시장 안정 대책과 관련, "자본 유출입 관련 거의 모든 규제를 철폐해 외국 자본이 많이 들락날락하면서 국내 주가와 금리, 유동성, 환율, 금융기관 건전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우리 경제 금융 시스템의 저항력과 흡수력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며 "외국자본의 유출입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것이냐가 가장 큰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