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생필품 가격정보 공개…비상경제대책회의, 내년부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내년부터 전기,도시가스 등 6가지 공공요금의 원가와 분유,치약 등 주요 생활필수품의 가격정보를 공개해 업체들의 부당한 가격 인상을 억제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등 14개 정부 부처는 10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서울 남대문시장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추석민생 및 생활물가 안정대책'을 보고했다.
정부는 생필품의 가격 상승에 따른 서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소비자원 홈페이지를 통해 치약,종합비타민,보청기 등의 지역 및 유통단계별 가격을 공개하기로 했다. 전기료,기차요금,도시가스,상수도 등 6가지 공공요금의 원가도 공개할 계획이다. 또 대형마트의 자체 주유소를 연말까지 19곳으로 늘리고 재판매 제도(기존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를 도입해 통신요금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및 영세 자영업자 등을 위해 11조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쌀 배추 등 21개 품목 가격을 중점 관리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이 대통령은 "생필품과 관련된 가격담합 등 불공정행위를 철저히 감시하라"고 지시했다.
이태명/장진모 기자 chihiro@hankyung.com
정부는 생필품의 가격 상승에 따른 서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소비자원 홈페이지를 통해 치약,종합비타민,보청기 등의 지역 및 유통단계별 가격을 공개하기로 했다. 전기료,기차요금,도시가스,상수도 등 6가지 공공요금의 원가도 공개할 계획이다. 또 대형마트의 자체 주유소를 연말까지 19곳으로 늘리고 재판매 제도(기존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를 도입해 통신요금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및 영세 자영업자 등을 위해 11조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쌀 배추 등 21개 품목 가격을 중점 관리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이 대통령은 "생필품과 관련된 가격담합 등 불공정행위를 철저히 감시하라"고 지시했다.
이태명/장진모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