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보안관' 3000명 양성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말까지…기업정보 보호
정부 '사이버 위기 종합대책'
정부 '사이버 위기 종합대책'
정부는 내년 말까지 기업 정보보호를 전담할 사이버 보안관 30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또 군사 영역에서의 사이버 테러에 대응할 사이버부대를 새롭게 편제하는 한편 지난 7 · 7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같은 상황에 대비해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국가 기관 간 역할을 분담하기로 했다.
정부는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를 열어 사이버 공격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침해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사이버위기 종합대책'을 최종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국정원이 국가 사이버 위기가 발생하면 민 · 관 합동 범정부 대책기구를 구성해 위협 분석 및 경보 발령,외국과의 공조 등 총괄 역할을 맡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사이버 공격에 사용되는 좀비PC 제거,대국민 사이버 안전 홍보 업무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국방부는 사이버부대를 새롭게 편성해 군통신 및 군사 정보에 관련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키로 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사이버 대응 조직을 보강하고 사이버 공격 탐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사이버 방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민간 전문가 등을 적극 발굴,사이버 보안관 3000명을 양성하고 학교와 직장,민방위 훈련에서 사이버 보안 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다. 해킹 등을 통한 산업기밀 유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와 조선 등 산업별 협회에 보안관제센터(ISAC)도 설치한다.
정부의 이런 대응은 지난 7월7일 DDoS 대란 당시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에 대한 여론의 따가운 비판을 의식한 것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는 등 사이버안보전략을 수립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DDoS 당시 대응과정에서 정부기관 간 사전 조율 없이 정부 각 부처가 제각기 나섬으로써 혼란만 야기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이번 기회에 범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를 점검해 국내의 우수한 IT(정보기술)환경이 오히려 사이버 공격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일을 막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임원기/박영태 기자 wonkis@hankyung.com
정부는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를 열어 사이버 공격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침해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사이버위기 종합대책'을 최종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국정원이 국가 사이버 위기가 발생하면 민 · 관 합동 범정부 대책기구를 구성해 위협 분석 및 경보 발령,외국과의 공조 등 총괄 역할을 맡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사이버 공격에 사용되는 좀비PC 제거,대국민 사이버 안전 홍보 업무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국방부는 사이버부대를 새롭게 편성해 군통신 및 군사 정보에 관련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키로 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사이버 대응 조직을 보강하고 사이버 공격 탐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사이버 방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민간 전문가 등을 적극 발굴,사이버 보안관 3000명을 양성하고 학교와 직장,민방위 훈련에서 사이버 보안 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다. 해킹 등을 통한 산업기밀 유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와 조선 등 산업별 협회에 보안관제센터(ISAC)도 설치한다.
정부의 이런 대응은 지난 7월7일 DDoS 대란 당시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에 대한 여론의 따가운 비판을 의식한 것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는 등 사이버안보전략을 수립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DDoS 당시 대응과정에서 정부기관 간 사전 조율 없이 정부 각 부처가 제각기 나섬으로써 혼란만 야기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이번 기회에 범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를 점검해 국내의 우수한 IT(정보기술)환경이 오히려 사이버 공격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일을 막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임원기/박영태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