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6자회담 중단 이후 사실상 단절돼 온 미국과 북한 간 공식대화가 재개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주말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은 북한과 양자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으며 시간과 장소는 앞으로 2주 안에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북한과 앞으로 이뤄질 어떠한 대화도 6자회담 프로세스 내에서 진행되는 것이며,북한을 다자회담에 복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 미 국무부가 '양자회담은 6자회담에 선행할 수 없다'는 종전 입장에서 벗어나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양자대화도 가능하다'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나선 셈이다.

북 · 미 관계가 대화국면으로 진전된다면 한반도는 물론 주변의 국제 정세에도 적지않은 파장(波長)을 몰고 올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미 정부는 이미 북한의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를 전제로 북 · 미 관계의 정상화를 비롯한 경제 · 에너지 분야에 대한 지원 의지를 천명한 상태다. 우리로서도 여전히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개성공단 문제를 비롯 임진강 황강댐 방류 사태 등 현안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남북간 긴장해소의 계기 마련이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북 · 미 간 대화 움직임과 관련해 우려할 만한 대목 또한 한두 가지가 아니다. 양자회담이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논의하기 위한 접촉이라고는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핵 문제를 놓고 깊숙한 대화가 이뤄질 게 불을 보듯 뻔하다. 실제로 얼마전 뉴욕타임스도 오바마 정부가 북핵의 완전한 폐기(廢棄)와 비핵화보다는 오로지 북한이 핵물질을 해외에 판매하지 못하도록 막는 '핵 봉쇄'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국이 대화만을 추구하다 결국 북한의 페이스에 말려든 과거의 전철을 되풀이해서는 결코 안 된다는 얘기다.

북 · 미 간 대화 재개는 북핵폐기를 위한 6자회담 등 기존 국제질서의 틀 안에서 추진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 보유는 절대 인정할 수 없다는 확고한 원칙을 세우고 한국이나 일본 등 동맹국들과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로서도 이 같은 양자 대화가 핵문제 해결은 물론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 · 미간 공조체제를 더욱 강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