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생활주택 20만채 공급한다고? 업계는 떨떠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법 개정후 사업승인 2건 불과
다세대 규제완화로 사업성 떨어져
다세대 규제완화로 사업성 떨어져
서울시가 지난 14일 내놓은 전세시장 안정대책 가운데 핵심 내용인 '소형주택 30만채 공급'을 두고 실현 가능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소형주택 30만채 가운데 도시형 생활주택(1~2인용 소형주택)이 무려 20만채를 차지하고 있어,이에대한 회의적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서울시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시는 전세난 해결을 위해 향후 10년간 신규 공급할 소형주택 30만채 중 도시형 생활주택을 매년 2만채씩 20만채를 공급할 방침이다.
이에대해 주택업계와 전문가들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민간업체들이 적극적으로 개발에 나서야 공급 목표가 달성되는데,현재는 이 같은 분위기 조성이 안 된 상태"라고 지적하고 있다.
더욱이 서울시가 사업계획승인 없이 자치구의 건축허가만으로 지을 수 있는 다세대 · 다가구 신축기준을 크게 완화하겠다고 밝히는 바람에 오히려 도시형 생활주택 개발업체들이 이들 상품으로 몰림으로써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도심에 지어지는 20세대 이상 150세대 미만의 원룸 · 기숙사형 주택으로 매년 2만채를 쏟아내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1년에 135~1000건의 사업 승인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주택법 개정안(도시형 생활주택 규정)이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서울 지역에서 사업이 승인된 건수는 2건에 불과하다. 아울러 지난 8월 서울시가 성북구 안암동 등 대학가 주변 5곳을 주차장 완화구역으로 지정했지만,오히려 땅값만 폭등했고 실제 사업 추진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16일 서울시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시는 전세난 해결을 위해 향후 10년간 신규 공급할 소형주택 30만채 중 도시형 생활주택을 매년 2만채씩 20만채를 공급할 방침이다.
이에대해 주택업계와 전문가들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민간업체들이 적극적으로 개발에 나서야 공급 목표가 달성되는데,현재는 이 같은 분위기 조성이 안 된 상태"라고 지적하고 있다.
더욱이 서울시가 사업계획승인 없이 자치구의 건축허가만으로 지을 수 있는 다세대 · 다가구 신축기준을 크게 완화하겠다고 밝히는 바람에 오히려 도시형 생활주택 개발업체들이 이들 상품으로 몰림으로써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도심에 지어지는 20세대 이상 150세대 미만의 원룸 · 기숙사형 주택으로 매년 2만채를 쏟아내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1년에 135~1000건의 사업 승인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주택법 개정안(도시형 생활주택 규정)이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서울 지역에서 사업이 승인된 건수는 2건에 불과하다. 아울러 지난 8월 서울시가 성북구 안암동 등 대학가 주변 5곳을 주차장 완화구역으로 지정했지만,오히려 땅값만 폭등했고 실제 사업 추진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