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은행 '生前유서' 제출 의무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연한 파산으로 충격 최소화
지난해 금융위기로 유럽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영국이 금융권의 유동성자산 관리기준을 더욱 강화하고 나섰다. 또 위기 재발을 막기 위해 대형 금융사들로 하여금 파산 이후 시행할 구체적 대책 매뉴얼을 미리 정부에 제출할 것도 요구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1일 영국 재무부와 금융감독청(FSA)이 각 은행과 증권사 등에 비상시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을 일정액 이상 보유할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제2의 금융위기 출현으로 시장 자금줄이 막혔을 때 금융사들이 더 이상 정부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생존력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영국 정부는 조만간 이에 대한 구체적 규제안을 마련해 이르면 10월부터 외국계를 포함한 자국 내 모든 금융사에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영국 정부는 아울러 부실 은행의 신속하고 유연한 파산 및 해체작업 실행을 위해 자국 은행들에 '생전(生前) 유서' 제출도 의무화할 예정이다. 생전 유서란 개인이 살아있을 당시 자신에게 생존의 위기가 닥쳤을 때 의료처치의 한계를 미리 유서 형식으로 정해두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생전 유서의 개념을 금융권에도 적용해 파산 발생시에도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게 영국 정부의 의도다. 오는 11월부터 도입될 이 '생전 유서' 방안에는 파산 후 60일 이내에 장부에 기록된 모든 자산에 대한 처리 대책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영국은 이 같은 내용의 금융권 규제 방안을 오는 24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하고 각 회원국에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1일 영국 재무부와 금융감독청(FSA)이 각 은행과 증권사 등에 비상시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을 일정액 이상 보유할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제2의 금융위기 출현으로 시장 자금줄이 막혔을 때 금융사들이 더 이상 정부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생존력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영국 정부는 조만간 이에 대한 구체적 규제안을 마련해 이르면 10월부터 외국계를 포함한 자국 내 모든 금융사에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영국 정부는 아울러 부실 은행의 신속하고 유연한 파산 및 해체작업 실행을 위해 자국 은행들에 '생전(生前) 유서' 제출도 의무화할 예정이다. 생전 유서란 개인이 살아있을 당시 자신에게 생존의 위기가 닥쳤을 때 의료처치의 한계를 미리 유서 형식으로 정해두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생전 유서의 개념을 금융권에도 적용해 파산 발생시에도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게 영국 정부의 의도다. 오는 11월부터 도입될 이 '생전 유서' 방안에는 파산 후 60일 이내에 장부에 기록된 모든 자산에 대한 처리 대책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영국은 이 같은 내용의 금융권 규제 방안을 오는 24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하고 각 회원국에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