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주택 토지보상을 위한 현장조사가 한창인 21일.서울 서초구 우면동 200 일대에서 서초구청이 벌인 보금자리주택 예정지 부동산 투기 집중 단속을 동행 취재했다.

서초구청에서 단속차를 타고 양재 사거리를 지나 과천 방향으로 5분여를 달리자 왼편으로 '비닐하우스 숲'이 나타났다. 다닥다닥 붙은 비닐하우스를 헤치고 안쪽으로 100m가량 들어갔다. 검은 패널로 굳게 닫힌 하우스가 보였다. 이날 단속에 나온 대한주택공사 관계자는 "안을 들어다 보면 사람이 사는 것처럼 꾸민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좁게 갈라진 문 틈으로 안을 살펴 보니 실제로 비닐하우스 양 옆으로 임시 구조물로 만든 방들이 보였다.



이는 보금자리주택의 임대 분양권을 노린 전형적인 투기 수법이다.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로 지정되기 3개월 전부터 거주한 사실이 입증되면 임대 분양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계자는 "원래는 방이 하나밖에 없었지만 야간에 공사 소리가 나서 조사해 보니 임시 구조물이 설치됐다"며 "단속에 들어가자 현재는 공사가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다.

임대 분양권을 노린 '비닐하우스 쪼개기'가 이미 끝난 곳도 발견됐다. 이곳에서 50m 떨어진 비닐하우스.화훼 농사를 짓는 다른 비닐하우스와 달리 나무로 만들어진 방문이 보였다. 문이 잠겨 안으로 들어갈 순 없었다. 하우스 옆에 난 좁은 창문으로 들여다 보니 사람이 사는 것처럼 꾸며진 공간이 눈에 들어왔다. 이제 막 새로 만들어진 듯한 벽 구조물과 침대,컴퓨터 등이 보였다.

관계자는 "처음 조사 나왔을 때만 해도 없었던 창문이 4개나 생겼다"며 "이들은 최근에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비닐하우스의 원래 주인은 거래가 불가능한 이곳을 지난 7월3일 2800만원에 팔아넘겼다. 새로 비닐하우스를 인수한 주인은 또다시 이곳을 4개의 방으로 쪼개고 개당 2000여만원에 팔았다.

하지만 이 비닐하우스는 주인이 3개월 전부터 거주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임대 분양권을 받지 못한다. 이를 믿고 투자한 사람만 손해를 보는 셈이다.

서초구청에 따르면 지구 지정 이전에 우면지구 내 비닐하우스에 거주한 인구는 30여명 정도다. 이후 임대 분양권을 노리고 임시 구조물을 만들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곳은 두 곳이지만 서너 군데에서 이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서희봉 서초구청 부동산정보과장은 "감시요원 3~4명이 24시간 감시를 벌이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인력이 모자란다"고 말했다.

한편 또 다른 보금자리주택 예정지인 강남구 세곡지구에서는 토지 주인들이 양도소득세를 감면받기 위해 예전부터 농사를 지었던 것처럼 꾸미는 수법이 횡행하고 있다. 한 세곡지구 주민은 "8년 동안 직접 농사를 지은 것으로 입증되면 양도세 감면 혜택을 볼 수 있다"며 "이를 노리고 농사를 지었던 임차농에게 이주비를 주고 이사를 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곳에는 이주비를 받고 우면지구에서 넘어온 임차농도 있다.

정부는 이 같은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토지 보상을 최대한 빠르게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주공 관계자는 "내달까지 예정지 내 건축물 조사를 마치고 감정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무리 없이 토지 보상을 진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선화 기자/김진방 인턴 d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