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외자 기업의 투자규제로 비판받아온 중국 정부가 거꾸로 해외 각국에 외국인에 대한 투자규제를 완화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이는 호주에서 중국을 겨냥한 광산업 투자규제안이 마련되는 등 반중국 정서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중국 외교부 장위 대변인은 26일 “각국은 외국인의 투자규제를 강화해서는 안된다”며 “중국의 기업들이 해외에서 자유로운 투자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돼야 한다”고 밝혔다.이는 최근 호주에서 외국인의 광산 소유지분을 철광석 등 주요 광산에 대해선 15% 미만으로,나머지 광산은 50% 미만으로 각각 규제할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중국이 지난 8월말 현재 호주 정부에 승인을 요청한 광산 인수건은 90곳으로 340억호주달러(약 34조원) 규모다.

호주 정부는 이에 앞서 중국 3위 철강업체 우한철강의 호주 자회사 우강오스트레일리안리소시스가 진행중인 4500만호주달러(약 450억원) 규모의 호크스네스트 광산 지분 50% 인수 시도와 관련,반대 입장을 표명했다.중국은 190억달러에 호주 철광석업체인 리오틴토를 인수하려던 계획도 호주 정부의 반대로 막판에 철회해야 했다.

작년에는 중국의 국부펀드인 CIC가 투자를 확대하자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중국경계론이 퍼졌으며,당시 CIC는 대유럽 투자 계획을 중단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었다.

하지만 중국은 중국업체와 합작기업을 설립해야 외국인 투자를 허용한다는 원칙을 내세우고 있으며,조선 등 핵심 산업은 합작기업의 경영권을 중국측이 갖도록 명문화하는 등 외국기업 투자에 까다로운 조건을 달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이에 따라 최근 EU는 중국에 대해 차별적인 외국인 투자와 경영환경을 개선하라고 공개적으로 촉구하기도 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