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27일 내놓은 요금 인하 조치를 통해 해마다 반복돼 온 요금 논란이 수그러들지 주목된다. 정부는 이통업체들과 함께 이 조치를 발표하면서 '가계통신비 20% 인하' 공약 달성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통신회사들은 당장의 수익성 저하로 인한 타격을 우려하면서도 건전한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열 경쟁에 따른 마케팅 비용 지출을 줄이고 설비 투자와 신규 서비스 개발 등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통신사들이 시뮬레이션한 결과 이번 개선안에 따른 통신요금 인하 규모는 내년 약 1조7000억원 수준이다. 유선(2500억원)을 제외한 이통요금 인하 규모는 1조5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과금체계 변경 등 제도 개선이 내년 중 완료되면 2011년 요금 인하 규모는 무선의 경우에만 2조1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설명이다.

정부는 내년에 1인당 월평균 2665원,가구당(2.9명 기준) 월 7730원가량이 절감될 것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유선전화 요금 인하와 결합상품에 따른 혜택을 감안하면 연간으로는 가구당 9만3000원 이상의 통신요금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방안이 제대로 실행되면 당초 목표로 했던 '가계통신비 20% 인하' 공약을 충분히 지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이미 결합상품 출시 등으로 가계통신비가 9~10%가량 줄어들었다는 계산에서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7~8% 정도 부담이 추가로 줄어들게 됐고,가상이동통신사업자(MVNO) 등장과 주파수 재배치 등을 통한 시장 경쟁 활성화 효과 등을 감안하면 내년 이후 20% 인하 목표가 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통신업계는 당분간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해졌다. SK텔레콤은 이번 요금 인하 대책으로 내년 중 7800억원의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요금 인하가 정착될 2011년에는 1조700억원까지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고도 했다. 매출의 10% 가까운 규모다. KT는 7144억원,LG텔레콤은 1670억원의 매출 감소를 예상하고 있다. 통신사들은 이번 인하 대책으로 발생하는 수익 감소분을 마케팅 비용 축소로 상쇄하겠다는 전략이다.

신용섭 방통위 통신정책국장은 "마케팅 경쟁에 투입되는 비용 등 여력이 있는 부분을 찾아내 이를 요금 인하나 투자로 전환하도록 유도했다"며 "매출액 대비 10%까지는 시장에서 감내할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