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 주 및 지방정부들이 거액의 저리대출를 받아 재정난 타개에 나서고 있다.

톰슨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주정부 및 지방정부들이 올해들어 빌린 대출금은 지난 24일 현재 2천170억달러로 연초에 비해 5% 증가했다.

특히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작년 부채상황을 보면 13개월 미만의 단기부채는 11.4% 증가했고, 13개월 이상의 장기대출은 3.5% 증가했다.

주.지방정부들의 대출이 증가한 이유는 경기침체로 인해 세수가 감소하면서 재정난에 봉착해 각종 사업집행을 위한 현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은 파산 위험성이 거의 없어 신용이 확실한 지방정부들에 저리 대출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타주의 리처드 엘리스 재무장관은 "주정부들이 대출받기가 아주 좋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재정위기에 봉착해 있는 캘리포니아주는 지난주 기존 부채상환을 위해 88억달러를 1.25-1.5%의 저리로 대출받았다.

이는 1년전에 비해 3분1로 낮아진 이자율이다.

마이애미 데이드 교육위원회의 경우 오는 12월 재산세 징수가 완료될 때까지 부족한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주 1억5천만달러를 0.37%의 이자율로 대출받아 이를 0.80%의 이자율이 보장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방침이다.

오하이오주의 경우 지난주 5억4천400만달러를 저리로 대출받아 이 보다 이자가 높은 기존 부채의 상환에 사용키로 했다.

채권등급이 트리플 A에 속하는 7개주 가운데 하나인 유타주는 지난 9월중순 고속도로 건설사업을 위해 15년 만기로, 이자율이 2.72%인 채권을 발행해 10억달러를 마련했다.

정부 등 공공기관에 대한 대출상황을 추적하는 `더 본드 바이어'라는 신문에 따르면 정부기관 등에 대한 13개월 미만의 단기대출 금리가 지난주 0.56%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정부나 지방정부들이 일반 기업들보다 저리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배경에는 이들 정부에 대출을 하는 기관들은 연방소득세 면세혜택을 받을수 있는데다 지난 1930년 이후 파산한 주정부가 하나도 없을 정도로 위험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유에스에이(USA) 투데이'가 28일 보도했다.

(애틀랜타연합뉴스) 안수훈 특파원 a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