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사회보험료 부담 지속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계소득이 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가계부채에 따른 부담과 건강보험 등 준조세 지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중 국민총처분가능소득 대비 6월말 가계신용(부채)의 배율은 1.39배로, 작년 같은 시기의 1.32배보다 0.07p 올라가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지난 2001년까지 1배 이하에 머물다가 ▲2004년 1.15배 ▲2005년 1.20배 ▲2006년 1.26배 ▲2007년 1.29배 ▲2008년 1.32배 등으로 계속 상승했다.
소득대비 이자부담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이자비용 지출은 2분기에 월평균 6만5932원으로 1년전인 지난해 같은 분기의 5만5739원보다 18.3% 늘었다.
이에 따라 소득(전국가구 지난 2분기 명목소득 월평균 329만8903원) 대비 이자지출 비율은 2.0%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소득대비 이자 비율은 2분기 기준으로 2004∼2006년 3년 연속 1.5%를 유지하다 2007년 1.6%, 2008년 1.7% 등으로 상승했다.
건강보험과 고용보험, 산업재해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사회보장관련 보험료 지출액은 지난해 2분기의 월평균 7만8792원에서 올해 같은 분기에는 8만4077원으로 6.7% 증가했다.
소득대비 사회보장 지출 비율은 2.5%로 관련통계 작성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 비율은 지난해 1분기 2.1%, 2분기 2.4%, 3분기 2.2%, 4분기 2.3%였으며 올해 1분기에도 2.3%를 유지했다.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등 연금에 대한 지출액은 작년 2분기의 월평균 8만2305원에서 올해 같은 분기 8만5102원으로 3.4% 늘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중 국민총처분가능소득 대비 6월말 가계신용(부채)의 배율은 1.39배로, 작년 같은 시기의 1.32배보다 0.07p 올라가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지난 2001년까지 1배 이하에 머물다가 ▲2004년 1.15배 ▲2005년 1.20배 ▲2006년 1.26배 ▲2007년 1.29배 ▲2008년 1.32배 등으로 계속 상승했다.
소득대비 이자부담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이자비용 지출은 2분기에 월평균 6만5932원으로 1년전인 지난해 같은 분기의 5만5739원보다 18.3% 늘었다.
이에 따라 소득(전국가구 지난 2분기 명목소득 월평균 329만8903원) 대비 이자지출 비율은 2.0%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소득대비 이자 비율은 2분기 기준으로 2004∼2006년 3년 연속 1.5%를 유지하다 2007년 1.6%, 2008년 1.7% 등으로 상승했다.
건강보험과 고용보험, 산업재해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사회보장관련 보험료 지출액은 지난해 2분기의 월평균 7만8792원에서 올해 같은 분기에는 8만4077원으로 6.7% 증가했다.
소득대비 사회보장 지출 비율은 2.5%로 관련통계 작성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 비율은 지난해 1분기 2.1%, 2분기 2.4%, 3분기 2.2%, 4분기 2.3%였으며 올해 1분기에도 2.3%를 유지했다.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등 연금에 대한 지출액은 작년 2분기의 월평균 8만2305원에서 올해 같은 분기 8만5102원으로 3.4% 늘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