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교육청 직원 "우리가 평가해도 썩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기관 청렴도 조사, 외부·내부평가 모두 최하위
전국 초 · 중 · 고교생 760여만명의 교육행정을 담당하는 일선 시 · 도교육청의 부정부패가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이 국민권익위원회의 '2008 공공기관 청렴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전국 16개 시 · 도교육청의 청렴도 평가점수가 10점 만점에 7점으로 공공기관(평균 8.2점) 중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내년 교육감 선거를 앞둔 일선 교육행정기관이 인사비리 등으로 얼룩진 탓에 공공기관 가운데 부패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각 교육청은 민원인이 평가한 청렴도(외부평가)와 소속 직원들이 평가한 인사업무 청렴도(내부평가)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다. 민원인이 평가한 청렴도의 경우 16개 시 · 도교육청은 평균 7.12점으로 전체 중앙행정기관,광역자치단체,공직유관단체,기초자치단체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은 교육청이 제주(5.03점),광주(5.06점),부산(5.74점) 등 모두 8곳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광역자치단체(16개 중 1곳),중앙행정기관(39개 중 4곳)과 대조를 이뤘다.
인사업무 청렴도에서도 시 · 도교육청은 평균 7.58점으로 공공기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 청렴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광주교육청은 민원인들이 밝힌 금품 및 향응 제공 규모가 각각 평균 123만원,382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최하위권을 기록한 대구교육청 역시 인사업무와 관련한 금품,향응의 평균 규모가 각각 92만원,150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최하위를 기록한 광주를 비롯해 제주 및 대구교육청의 청렴도가 낮았고,서울과 경기교육청도 7점대로 조사됐다. 지역별 점수를 보면 광주(7.04점) 제주(7.14점) 대구(7.18점) 등이 매우 저조했다. 또 부산(7.29점) 경북(7.33점) 전북(7.38점) 전남(7.46점) 울산(7.59점) 충북(7.83점) 서울(7.88점) 경남(7.91점) 경기(7.95점) 등 대부분 시 · 도교육청이 7점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청렴도 평가 결과가 낮게 나온 이유에 대해 평가 항목별로 해당 부서에서 원인을 찾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청렴 연수 횟수를 늘리는 등 청렴 교육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 의원은 "내년 교육감 직선제가 지방선거와 함께 시행되면 이러한 부정부패 현상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각 시 · 도 교육청이 부패 방지와 청렴도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이 국민권익위원회의 '2008 공공기관 청렴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전국 16개 시 · 도교육청의 청렴도 평가점수가 10점 만점에 7점으로 공공기관(평균 8.2점) 중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내년 교육감 선거를 앞둔 일선 교육행정기관이 인사비리 등으로 얼룩진 탓에 공공기관 가운데 부패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각 교육청은 민원인이 평가한 청렴도(외부평가)와 소속 직원들이 평가한 인사업무 청렴도(내부평가)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다. 민원인이 평가한 청렴도의 경우 16개 시 · 도교육청은 평균 7.12점으로 전체 중앙행정기관,광역자치단체,공직유관단체,기초자치단체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은 교육청이 제주(5.03점),광주(5.06점),부산(5.74점) 등 모두 8곳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광역자치단체(16개 중 1곳),중앙행정기관(39개 중 4곳)과 대조를 이뤘다.
인사업무 청렴도에서도 시 · 도교육청은 평균 7.58점으로 공공기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 청렴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광주교육청은 민원인들이 밝힌 금품 및 향응 제공 규모가 각각 평균 123만원,382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최하위권을 기록한 대구교육청 역시 인사업무와 관련한 금품,향응의 평균 규모가 각각 92만원,150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최하위를 기록한 광주를 비롯해 제주 및 대구교육청의 청렴도가 낮았고,서울과 경기교육청도 7점대로 조사됐다. 지역별 점수를 보면 광주(7.04점) 제주(7.14점) 대구(7.18점) 등이 매우 저조했다. 또 부산(7.29점) 경북(7.33점) 전북(7.38점) 전남(7.46점) 울산(7.59점) 충북(7.83점) 서울(7.88점) 경남(7.91점) 경기(7.95점) 등 대부분 시 · 도교육청이 7점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청렴도 평가 결과가 낮게 나온 이유에 대해 평가 항목별로 해당 부서에서 원인을 찾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청렴 연수 횟수를 늘리는 등 청렴 교육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 의원은 "내년 교육감 직선제가 지방선거와 함께 시행되면 이러한 부정부패 현상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각 시 · 도 교육청이 부패 방지와 청렴도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