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부양가족에 대해 꼬박꼬박 가족수당을 받고,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을 단란주점에서 접대비로 쓴다. 단 3시간의 공무를 위해 터키나 그리스 해외연수에 나서는 것은 기본.공무원들의 이같이 나사 풀린 '흥청망청 백태'가 올해 국감에서 나타났다.

유정현 한나라당 의원이 5일 분석한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3만여명의 공무원들이 각종 수당을 부당하게 타갔다. 총 137억원이 공무원의 '눈먼 돈'으로 뿌려졌다.

이들 공무원은 사망했거나 같이 살고 있지 않은 가족에 대해 태연히 가족수당을 받았다. 부부 공무원이나 형제 자매가 같은 가족에 대해 이중으로 수령하거나,퇴학한 자녀를 재학 중인 것으로 위장해 학비보조를 받기도 했다. 중앙부처 중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부당수령이 가족수당 1059건,자녀학비보조수당 79건으로 가장 잦아 도덕불감증이 심각했다.

공직사회의 외유성 해외연수도 여전했다. 김소남 한나라당 의원에 따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상반기 1억2000만원을 들여 터키와 그리스 이탈리아 등으로 직원 연수를 보냈다. 연수 기간 7~9일 중 공무일정은 최대 3시간30분.나머지는 관광으로 채워졌다. 김 의원은 "재외선거 관련 설명회를 목표로 해놓고 한인이 많은 중국 일본이 아니라 재외국민수가 356명에 불과한 그리스 등을 택한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3년간 법정한도액의 17배에 이르는 최고 48억원의 접대비를 써서 물의를 빚었다. 룸살롱이나 단란주점 등 불건전업소에서 쓴 접대비도 무려 8억9000만원에 달했다.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은 "2001년 1조1500억원 이상의 공적자금을 받은 수협이 사치성 업소에서 혈세를 낭비한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외교통상부는 전자여권 발급수수료를 부풀려 440억원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송영선 친박연대 의원에 따르면 외통부는 전자여권 발급수수료를 3만5000~4만원으로 책정했지만 실제 발급비용은 제작원가 1만9700원을 포함해 2만5000원 이내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까지 299만건의 전자여권이 발급된 것을 감안하면 국민은 실제 발급비용보다 438억6000만원을 더 부담한 셈이다. 외통부는 재외공관장 차량 166대 중 94대가 벤츠 등 외제차인 것으로 드러나 눈총을 받기도 했다. 외통부는 국산차 홍보를 위해 국내 자동차회사들과 차량구입 양해각서까지 체결했지만 실제로는 외제차 선호현상이 여전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