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복귀냐 다자회담 제의냐…김정일 '중대제의' 내용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상원조 앞세운 中 압박에 고립 피하며 일단 시간 벌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5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의 면담 자리에서 북핵 협상에 중대 돌파구가 될 만한 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중대안은 6자회담 복귀 또는 북 · 미 양자회담 후 가시적 성과가 있을 경우 6자회담(다자회담)에 복귀하는 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이런 전향적인 안을 제시한 것은 중국이 원 총리의 방북을 통해 식량과 중유 등 대규모 대북 무상원조를 약속하면서 북한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압박한 데 따른 것이다. 우방인 중국마저 등을 돌릴 경우 국제사회에서 고립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최고급 중재자인 중국을 통해 북핵 국면의 전환을 꾀하려 할 것"이라며 "북측의 '중대 발표'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이나 6자회담 복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외교가에서는 북한이 원 총리의 중재를 받아들이는 형태로 비핵화 선언보다는 6자회담 복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북한이 대남 · 대미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라도 '핵카드'를 좀처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회담 복귀를 통해 일단 시간을 번 뒤 그랜드 바겐(일괄타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일각에서는 중국이 즉각적인 6자회담 복귀 보다는 다자회담을 제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들은 "북한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 북한이 참여하는 다자협상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으로 다자의 범위에 있어 변수를 남겨놓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면서 "북한은 북 · 미 양자회담의 성과를 본 뒤 다자회담 참여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일단 다자회담 참여를 공식화하지 않을 경우 북 · 미 대화 자체가 어렵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자회담은 다소 애매한 표현이다. 기존의 6자회담이 될 수도 있지만 북한이 굳이 6자회담이 아닌 다자라는 표현을 쓴 게 6자회담이 아닌 새로운 틀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북한과 중국,미국이 참석하는 3자회담 또는 우리 정부가 포함되는 4자회담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자회담은 6자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
북한이 이런 전향적인 안을 제시한 것은 중국이 원 총리의 방북을 통해 식량과 중유 등 대규모 대북 무상원조를 약속하면서 북한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압박한 데 따른 것이다. 우방인 중국마저 등을 돌릴 경우 국제사회에서 고립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최고급 중재자인 중국을 통해 북핵 국면의 전환을 꾀하려 할 것"이라며 "북측의 '중대 발표'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이나 6자회담 복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외교가에서는 북한이 원 총리의 중재를 받아들이는 형태로 비핵화 선언보다는 6자회담 복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북한이 대남 · 대미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라도 '핵카드'를 좀처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회담 복귀를 통해 일단 시간을 번 뒤 그랜드 바겐(일괄타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일각에서는 중국이 즉각적인 6자회담 복귀 보다는 다자회담을 제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들은 "북한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 북한이 참여하는 다자협상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으로 다자의 범위에 있어 변수를 남겨놓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면서 "북한은 북 · 미 양자회담의 성과를 본 뒤 다자회담 참여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일단 다자회담 참여를 공식화하지 않을 경우 북 · 미 대화 자체가 어렵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자회담은 다소 애매한 표현이다. 기존의 6자회담이 될 수도 있지만 북한이 굳이 6자회담이 아닌 다자라는 표현을 쓴 게 6자회담이 아닌 새로운 틀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북한과 중국,미국이 참석하는 3자회담 또는 우리 정부가 포함되는 4자회담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자회담은 6자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