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세대당 소득 상승률의 4.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 김태원 한나라당 의원은 8일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시장이 취임한 2006년 7월 이후 지난 8월까지 3년간 서울 아파트 가격은 평균 22.6% 상승했지만 서울 세대당 평균 소득은 4.9%만 올라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의 4.6배에 달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국민은행과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2006년 7월 1404만원에서 지난 8월 1722만원으로 22.6% 증가했다. 이에 비해 서울 전체 가구의 세대당 연평균 소득은 이 기간 3836만원에서 4024만원으로 4.9% 늘어나는 데 그쳤다.

김 의원은 이에 따라 서울 시민이 저축을 통해 109㎡(33평) 아파트 1채를 장만하는 데는 3년 전의 경우 30.2년이 걸렸지만 지금은 40.9년이 소요돼 3년 만에 무려 10.7년이 더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또 82.6㎡(25평) 아파트의 경우에도 8.8년(25.7년→34.5년)가량이 더 걸리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기간 자치구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노원구가 59.9%로 가장 높았으며 강북구(38.3%) 중랑구(37%) 도봉구(33.6%) 금천구(31.7%) 성북구(29.2%) 강서구(27%) 관악구(26.4%) 은평구(25.8%) 등의 순이었다. 강남구와 서초구,송파구는 각각 6.1%,5.2%,5%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편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서울시가 청계천 상인에 대한 이주대책으로 건립한 송파구 문정동 가든파이브(동남권 유통단지)가 대규모 미분양으로 인해 서울시 산하기관인 SH공사의 재정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장제원 한나라당 의원은 SH공사가 제출한 국감 자료를 근거로 "가든파이브의 분양 계약률이 38%에 그쳐 8월 현재 분양대금이 1283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이는 전액 차입으로 조달한 조성 비용(1조3000여억원)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