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뒤에는 거리를 달리는 전기자동차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정부는 전기차 조기 양산을 위해 기술개발 지원과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이를 통해 2015년에는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의 10%를 점유하는 등 전기차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입니다. 김성진 기자입니다. 정부가 전기자동차 양산에 속도를 냅니다. 지식경제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전기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고 기후변화 협상도 급진전될 가능성이 있어 전기차 양산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조석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현재 시장 전망이 불확실하고 부품기술도 아직 미흡하지만 이번 대책을 통해서 당초 2013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던 전기차 국내 양산을 2년 앞당겨 2011년 하반기로 할 계획이다.” 우선 배터리 등 핵심부품 기술 개발을 위해 2014년까지 4천억원의 예산을 집중 지원하고 R&D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도 추진합니다. 안전과 성능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고속 전기차는 물론 시속 60km 이하 저속 전기차도 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도 힘을 받습니다. 충전소 인허가 조건, 공영주차장과 공동주택 설치를 위한 근거 규정도 마련합니다. 또 백화점과 고속도로 휴게소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곳에 설치할 경우 비용 일부를 저리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충전 방식에 대해서는 충전소를 기본으로 주유소에서 배터리를 교환하는 리스 방식도 함께 검토 중입니다. 조석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충전소를 염두하고 있다. 고속 충전이든 저속 충전이든. 하지만 배터리 리스 방식에 대해서도 봐야 한다. 르노에서 시도를 하고 있으니까. 아직 어느 쪽도 정해진 것은 없다. 다양한 방식 중 비용 효과를 고려해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다.” 전기 보급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을 경우 가솔린 차량 대비 가격차의 절반을 2천만원 이내에서 보조해주고 일반 소비자들은 시장여건과 재정 상황을 감안해 세제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15년에는 세계 자동차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2020년에는 국내 소형차의 10% 이상을 전기자동차로 보급해 글로벌 전기자동차 4대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입니다. WOW-TV NEWS 김성진입니다. 김성진기자 kims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