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노벨상 반납하라" vs "핵 폐기 노력 인정받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상 놓고 미국 양분
WP "모두 당황‥이상한 노벨상"…공화당 "오바마가 이룬 게 뭔가"
펠로시 "지도력과 비전을 지지"
WP "모두 당황‥이상한 노벨상"…공화당 "오바마가 이룬 게 뭔가"
펠로시 "지도력과 비전을 지지"
"그(오바마)는 후보로 오른 것을 몰랐다. 결코 로비를 하지 않았다. "
지난 9일 스웨덴 노벨위원회가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발표한 뒤 백악관 측근들은 이렇게 밝혔다. 하지만 그의 수상 자격을 놓고 지구촌이 웅성거리고 있다. 미국 내에선 의료보험 개혁에 이어 또다시 여론이 양분되는 양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룩한 성과에 비해 수상이 너무 이르다는 평가가 있는가 하면 핵무기 폐기 등 그의 지도력과 비전이 인정받고 격려받은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독일 슈피겔지는 "취임 9개월째인 그가 상을 받는 것은 2~3㎞ 달린 마라토너에게 메달을 주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다. 오바마가 국제 분쟁의 해결책을 찾고 대화와 타협의 국제환경을 조성하느라 노력은 하고 있으나 실적이 없어 아직은 화려한 연설과 외교적 노력에 불과하다는 점에서다. 노동운동가였던 레흐 바웬사 전 폴란드 대통령도 "수상이 너무 이르다"고 평가했다.
미국 주요 언론의 반응도 까칠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을 통해 노벨위원회의 결정을 비판했다. "모두를 당황케 만든 이상한 노벨평화상"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대선 때 그를 지지했던 WP는 "오바마 대통령의 목표는 여전히 목표일 뿐"이어서 그가 아니라도 수상할 인물이 많았다고 전했다. 불법 대선 의혹을 제기하는 시위 과정에서 숨진 이란의 여대생 네다 하그아 솔탄과 같은 분명한 대안이 있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소한 (임기) 3년 이상은 돼야 오바마 대통령이 그의 담대한 희망을 달성할 수 있을지 알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 보수진영의 공격은 더욱 신랄하다.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로 극우보수 논객인 러시 림보는 "(오바마 수상은 불공평했다는) 탈레반,이란과 의견을 같이할 일"이라고 깎아내렸다. 그는 "전 세계 엘리트층은 오바마에게 아프가니스탄에 병력을 증파하지 말고,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적대적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미 대사는 "그(오바마)는 상을 거부하고 3~4년 뒤에나 다시 (시상을) 검토해줄 것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앞으로 핵 군축,아프간 전쟁,중동 평화 문제 등 오바마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해 영광보다는 정치적 부채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슈피겔은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내민 화해의 손을 이란,탈레반,북한,러시아,이스라엘,팔레스타인 등 누구도 맞잡지 않는 상황에서 외교전략을 재고,수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럴 경우 주머니 속에 넣고 있던 다른 한쪽 손을 꺼내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환영과 격려 역시 많다.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은 "그의 외교정책에 대한 노벨위원회의 강력한 지지 표명"이라고 수상을 환영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은 "지도력과 비전에 대한 입증"이라고 축하를 보냈다. 지난해 대선 경쟁자였던 존 매케인 공화당 상원의원은 "축하한다"고 전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도 "핵무기 폐기 노력을 평가받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피델 카스트로 전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전임 미국 대통령들의 학살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들인다"면서도 "긍정적 일보로 본다"고 밝혔다.
미 CNN방송은 미국 내 논란과 관련,"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노벨상 수여 결정이 미국을 일부 쪼개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찌됐건 오바마 대통령은 "이 상을 정의와 인간의 존엄을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과 같이하겠다"고 발표했다. 상금 140만달러는 자선단체에 기부키로 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지난 9일 스웨덴 노벨위원회가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발표한 뒤 백악관 측근들은 이렇게 밝혔다. 하지만 그의 수상 자격을 놓고 지구촌이 웅성거리고 있다. 미국 내에선 의료보험 개혁에 이어 또다시 여론이 양분되는 양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룩한 성과에 비해 수상이 너무 이르다는 평가가 있는가 하면 핵무기 폐기 등 그의 지도력과 비전이 인정받고 격려받은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독일 슈피겔지는 "취임 9개월째인 그가 상을 받는 것은 2~3㎞ 달린 마라토너에게 메달을 주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다. 오바마가 국제 분쟁의 해결책을 찾고 대화와 타협의 국제환경을 조성하느라 노력은 하고 있으나 실적이 없어 아직은 화려한 연설과 외교적 노력에 불과하다는 점에서다. 노동운동가였던 레흐 바웬사 전 폴란드 대통령도 "수상이 너무 이르다"고 평가했다.
미국 주요 언론의 반응도 까칠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을 통해 노벨위원회의 결정을 비판했다. "모두를 당황케 만든 이상한 노벨평화상"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대선 때 그를 지지했던 WP는 "오바마 대통령의 목표는 여전히 목표일 뿐"이어서 그가 아니라도 수상할 인물이 많았다고 전했다. 불법 대선 의혹을 제기하는 시위 과정에서 숨진 이란의 여대생 네다 하그아 솔탄과 같은 분명한 대안이 있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소한 (임기) 3년 이상은 돼야 오바마 대통령이 그의 담대한 희망을 달성할 수 있을지 알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 보수진영의 공격은 더욱 신랄하다.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로 극우보수 논객인 러시 림보는 "(오바마 수상은 불공평했다는) 탈레반,이란과 의견을 같이할 일"이라고 깎아내렸다. 그는 "전 세계 엘리트층은 오바마에게 아프가니스탄에 병력을 증파하지 말고,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적대적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미 대사는 "그(오바마)는 상을 거부하고 3~4년 뒤에나 다시 (시상을) 검토해줄 것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앞으로 핵 군축,아프간 전쟁,중동 평화 문제 등 오바마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해 영광보다는 정치적 부채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슈피겔은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내민 화해의 손을 이란,탈레반,북한,러시아,이스라엘,팔레스타인 등 누구도 맞잡지 않는 상황에서 외교전략을 재고,수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럴 경우 주머니 속에 넣고 있던 다른 한쪽 손을 꺼내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환영과 격려 역시 많다.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은 "그의 외교정책에 대한 노벨위원회의 강력한 지지 표명"이라고 수상을 환영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은 "지도력과 비전에 대한 입증"이라고 축하를 보냈다. 지난해 대선 경쟁자였던 존 매케인 공화당 상원의원은 "축하한다"고 전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도 "핵무기 폐기 노력을 평가받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피델 카스트로 전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전임 미국 대통령들의 학살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들인다"면서도 "긍정적 일보로 본다"고 밝혔다.
미 CNN방송은 미국 내 논란과 관련,"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노벨상 수여 결정이 미국을 일부 쪼개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찌됐건 오바마 대통령은 "이 상을 정의와 인간의 존엄을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과 같이하겠다"고 발표했다. 상금 140만달러는 자선단체에 기부키로 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