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에 '차이나리스크' 경계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오산강철 가격인하 소식에 철강株 약세
게임株, 中외국자본 게임규제로 일제히 급락
게임株, 中외국자본 게임규제로 일제히 급락
증시에 '차이나 리스크' 주의보가 발령됐다. 철강주와 게임주가 주요 타깃이다. 중국 1위 철강회사인 바오산강철의 가격 인하로 국내 철강가격 하락 압력이 커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주가 함께 주저앉았다. 중국이 외국 자본의 인터넷 게임 서비스 규제 방침을 내놓자 엔씨소프트 네오위즈게임즈 등 게임주들도 급락세를 보였다.
매수 주체 공백과 상승 동력 부재로 증시 체력이 소진된 가운데 해외발 악재가 투자심리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13일 삼성전자 현대차 등 정보기술(IT)과 자동차 대표주들이 일제히 상승했지만 철강업종지수가 1.20% 빠지며 코스피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게임주가 속한 코스닥시장의 디지털콘텐츠지수도 2.95% 떨어져 코스닥지수가 나흘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포스코,골드만삭스 '강력 매수'에 선방
바오산강철의 가격 인하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요 철강주들은 장이 열리자마자 3%가량 급락세를 보였다. 이후 낙폭을 더욱 키워 현대하이스코가 5.33% 빠졌고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각각 4.49%와 3.26% 하락했다.
이날 골드만삭스가 "아시아 지역의 철강 수요가 내년부터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해 수혜가 기대된다"며 '강력 매수' 의견을 낸 포스코만 골드만삭스 씨티 모건스탠리 등 외국계 증권사 창구로 매수 주문이 몰린 덕분에 0.20% 내리는 데 그쳤다.
바오산강철이 다음 달 핫코일 중국 내수가격을 t당 400~500위안 인하한다고 발표한 게 철강주 약세의 배경이다. 이 조치가 국내 철강가격 인하 압력으로 이어져 철강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문정업 대신증권 기업분석부장은 "전 세계 철강제품 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의 가격 동향은 철강주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중국 시장의 철강제품 가격 약세가 예상보다 길어지면 국내 철강가격 인하 압력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 부장은 "다만 중국 시장의 가격 하락이 수요 감소보다는 재고 증가에 기인한 측면이 커 보여 감산을 통한 재고 조정이 빨리 이뤄지면 11월 이후엔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크레디리요네증권에 따르면 매주 전 세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글로벌 철강가격 전망 조사에서 지난 9일 철강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는 답변이 1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 동안 이 수치가 50~70% 수준이었음을 감안하면 철강가격에 대한 전망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조사 결과를 철강주 투자심리를 악화시킨 요인으로 꼽았다.
◆게임 규제 불확실성이 부담
중국의 게임 규제 방침이 알려지자 주요 게임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엔씨소프트와 네오위즈게임즈는 하한가 가까이 떨어졌다가 각각 7.28%,7.86% 하락한 상태로 장을 마쳤다. 엠게임이 8.43% 급락했고 NHN 웹젠 액토즈소프트 등도 3~5%대의 하락률을 보였다.
최경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규제의 대상은 △외국 자본과의 합작공사 △외국 자본과의 계약 △외국 자본으로부터의 기술 지원 등인데,합작공사 부분은 국내 업체들이 중국 게임유통업체를 통해서 제품을 유통하고 로열티만 받는 구조여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그러나 나머지는 범위가 명확지 않아 불확실성이 큰 게 문제"라며 "불확실성이 계속되면 게임주 주가에 악영향이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번 규제는 중국에서 큰 돈을 벌고 있는 미국 블리자드사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장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에서 한국 게임 유통을 금지하면 샨다 텐센트 등 중국 유통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고 이에 따라 중국 내 불만이 커질 것"이라며 "규제 리스크는 부담이지만 국내 기업들을 겨냥한 규제가 아닌 만큼 주가는 조만간 회복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경영/강현우 기자 longrun@hankyung.com
매수 주체 공백과 상승 동력 부재로 증시 체력이 소진된 가운데 해외발 악재가 투자심리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13일 삼성전자 현대차 등 정보기술(IT)과 자동차 대표주들이 일제히 상승했지만 철강업종지수가 1.20% 빠지며 코스피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게임주가 속한 코스닥시장의 디지털콘텐츠지수도 2.95% 떨어져 코스닥지수가 나흘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포스코,골드만삭스 '강력 매수'에 선방
바오산강철의 가격 인하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요 철강주들은 장이 열리자마자 3%가량 급락세를 보였다. 이후 낙폭을 더욱 키워 현대하이스코가 5.33% 빠졌고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각각 4.49%와 3.26% 하락했다.
이날 골드만삭스가 "아시아 지역의 철강 수요가 내년부터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해 수혜가 기대된다"며 '강력 매수' 의견을 낸 포스코만 골드만삭스 씨티 모건스탠리 등 외국계 증권사 창구로 매수 주문이 몰린 덕분에 0.20% 내리는 데 그쳤다.
바오산강철이 다음 달 핫코일 중국 내수가격을 t당 400~500위안 인하한다고 발표한 게 철강주 약세의 배경이다. 이 조치가 국내 철강가격 인하 압력으로 이어져 철강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문정업 대신증권 기업분석부장은 "전 세계 철강제품 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의 가격 동향은 철강주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중국 시장의 철강제품 가격 약세가 예상보다 길어지면 국내 철강가격 인하 압력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 부장은 "다만 중국 시장의 가격 하락이 수요 감소보다는 재고 증가에 기인한 측면이 커 보여 감산을 통한 재고 조정이 빨리 이뤄지면 11월 이후엔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크레디리요네증권에 따르면 매주 전 세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글로벌 철강가격 전망 조사에서 지난 9일 철강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는 답변이 1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 동안 이 수치가 50~70% 수준이었음을 감안하면 철강가격에 대한 전망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조사 결과를 철강주 투자심리를 악화시킨 요인으로 꼽았다.
◆게임 규제 불확실성이 부담
중국의 게임 규제 방침이 알려지자 주요 게임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엔씨소프트와 네오위즈게임즈는 하한가 가까이 떨어졌다가 각각 7.28%,7.86% 하락한 상태로 장을 마쳤다. 엠게임이 8.43% 급락했고 NHN 웹젠 액토즈소프트 등도 3~5%대의 하락률을 보였다.
최경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규제의 대상은 △외국 자본과의 합작공사 △외국 자본과의 계약 △외국 자본으로부터의 기술 지원 등인데,합작공사 부분은 국내 업체들이 중국 게임유통업체를 통해서 제품을 유통하고 로열티만 받는 구조여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그러나 나머지는 범위가 명확지 않아 불확실성이 큰 게 문제"라며 "불확실성이 계속되면 게임주 주가에 악영향이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번 규제는 중국에서 큰 돈을 벌고 있는 미국 블리자드사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장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에서 한국 게임 유통을 금지하면 샨다 텐센트 등 중국 유통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고 이에 따라 중국 내 불만이 커질 것"이라며 "규제 리스크는 부담이지만 국내 기업들을 겨냥한 규제가 아닌 만큼 주가는 조만간 회복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경영/강현우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