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먹은 컵라면 한 개를 만드는 데 온실가스가 얼마나 나왔을까?"

일본 정부가 이달 말부터 각종 제품의 생산과 유통,폐기시 발생한 이산화탄소 총량을 겉포장에 표시하는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인증제'를 실시한다.

NHK는 14일 경제산업성이 대형 유통업체 이온의 PB(자체 브랜드) 상품 3종(쌀 식용유 세탁용세제)에 탄소발자국 인증마크 부착을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시중 유통제품에 정식으로 탄소발자국 인증제를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경제산업성은 현재 컵라면과 문구용품 등 41개 제품이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기 위해 대기 중이며,향후 인증제품 명단과 탄소배출량 산정 기준을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탄소발자국이란 용어는 2006년 영국 의회 산하 독립기구인 과학기술처(POST)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현재 일본과 미국을 비롯해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 각국에서 도입했으며 한국에서도 지난 2월부터 '탄소성적표지제'란 이름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