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당초 인천대교 통행료를 6300원 선에서 검토했지만 '비싼 통행료' 논란이 제기되자 공사비와 유지관리비용 등을 합산한 총비용을 기초로 5500원으로 최종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통행료 과다책정 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전체구간 중 민간자본이 투입된 구간은 12.4㎞로 ㎞당 443원을 내는 셈이다. 민자구간이 32㎞에 이르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총연장 40㎞)의 경우 7400원으로 ㎞당 231원에 불과하다. 인천대교 통행료는 최근 개통된 서울~용인 민자도로(㎞당 78.6원)보다도 무려 5배 이상 비싸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인~서울 고속도로는 순수 국고 보조금이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 시 개발사업자가 내는 광역교통시설 부담금으로 지원해 다른 민자 도로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16일 개통식 행사를 갖고 17~18일 이틀간 개통기념 걷기대회와 자전거 행진대회를 연다. 인천대교는 2005년 7월 공사를 시작해 총 2조456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