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서울시가 대규모 철거 및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종로구 피맛길 가운데 아직 착공되지 않은 구간을 원래 모습대로 보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시는 종로와 돈화문로간 3.1㎞의 피맛길 중 철거 재개발 사업이 이미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교보빌딩~종로2가간 0.9㎞를 제외한 나머지 종로2~6가 2.2㎞ 구간을 ‘수복 재개발 구간’으로 지정해 관리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수복 재개발은 대상 지역이 개발전 분위기를 가질 수 있도록 철거 재개발을 지양하고 낙후 불량한 부분만 고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방식이다.시는 85억여원을 들여 내년에 종로2~3가 750m 구간,2011년 종묘~종로6가 750m구간과 돈화문 700m구간을 대상으로 보도 하수도 가로등 전신주 광고물 등을 정비하고 구간별 특성에 맞게 분위기를 연출할 계획이다.
 
시는 외부용역을 통해 피맛길 정비방안을 마련 중이며 민·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하고 관련 조례도 개정할 계획이다.시는 구역 지정이 끝난 철거 재개발 구간도 골목길은 최대한 원래 모습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도록 원설계자와 협의해 지구별 건축계획에 반영토록 할 방침이다.
 
피맛길은 2000년대 초반 재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서울의 전통을 말살하는 ‘막무가내식’ 재개발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시 관계자는 “대규모 철거방식 재개발은 공사후 들어선 점포들의 규모가 크고 전통 분위기도 잃어 원래 분위기 유지에 한계가 있었다”며 “미개발 피맛길도 시설물 난립으로 도시 미관을 해치고 상권이 침체됐다는 점을 감안해 절충안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피맛길은 서울 종로에 있는 조선시대 골목길로 일반 백성들이 종로를 다니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다닌다는 피마(避馬)에서 유래했다.종로와 돈화문로에 폭 2~3m,길이 3.1㎞로 좁고 길게 형성됐 있다.

김태철 기자 sys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