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국 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지원 요청과 관련,비전투 병력 파병과 함께 민간차원의 추가 평화재건활동 등 경제지원을 늘리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전투병 파병은 현 시점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선택에서 배제될 것"이라며 "농촌에서의 활동 등 민간의 아프간 지방재건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병력'을 파견하되 경찰 단독, 경찰 및 군 합동, 용병 · 사설경호팀 파견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월 아프간 지방재건팀의 규모를 기존 25명에서 85명으로 늘리기로 결정한 데 이어 현재는 이 규모를 300~400명으로 추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각수 외교통상부 2차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국정감사에서 "경제지원 규모는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파병에 대해선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재건을 위해 상당 규모의 경제지원과 비전투병 파견을 검토하는 것은 전투병 파병에 따른 위험을 피하면서 미국 측의 입장을 고려한 포석으로 보인다.

2007년 한국군 파병이 빌미가 돼 아프간 현지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샘물교회 봉사단 23명이 탈레반에 납치돼 이 중 2명이 희생되는 등 군 파병으로 인해 당시 정권은 심각한 국론 분열을 겪은 바 있다.

이와 관련,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은 이날 서울에서 열린 '제41차 한미안보협의회(SCM) 단독 및 확대회담' 후 가진 합동기자회견에서 "아프간 경찰과 군을 확장하는 데 있어서도 한국의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고 민간차원의 다양한 프로젝트와 경제재건에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