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조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은 26일 "복수노조 허용을 내년부터 전면 시행하는 것이 노사 선진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 들 경우 시행 시기를 전면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 방향으로 가는 것은 옳지 않으므로 모든 가능성을 열고 논의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노사 양측을 만난 결과노조 측은 복수노조 도입에 따른 교섭창구 단일화를 반대하고 있고 재계는 협상 창구가 분산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었다"면서 "당 정책위 차원에서 노동부와 긴밀히 협의하되 복수노조 허용 시기를 다소 유예하는 방안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복수노조 허용 시기를 내년 이후로 유예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과 정부는 그동안 노조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복수노조 허용을 내년부터 시행하되 보완책을 마련하는 '선 시행 · 후 보완'에 무게를 실어 왔다. 한나라당은 지난 23일 김 의장과 신상진 제5정조위원장,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 등이 참석한 고위 정책협의회에서 복수노조 허용,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문제를 놓고 포괄적인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여권 핵심 관계자는 "복수노조를 현행법 그대로 시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한국노총과 정책연대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동부는 이날 "노동계가 제안한 6자(노동부,노사정위원회,경총,대한상의,한국노총,민주노총) 회담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하자는 뜻을 양대 노총을 비롯한 이해 당사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르면 이번 주 중 복수노조 및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6자 대표자 회담'이 열릴 전망이다. 재계는 노동부의 방침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어 6자회담 가능성은 높다. 다만 한국노총은 대표자 회담 전에 실무진 회의를 먼저 하자는 입장이며,민주노총은 중앙집행위원회 인준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밝혀 회담 시작은 늦어질 수도 있다.

이준혁/김유미/고경봉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