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가 28일 이명박 정부의 핵심 정책인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현장을 첫 방문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경북 구미시 낙동강변에서 열린 환경부 수질오염방제센터 출범식에 참석해 "4대강 사업은 물 부족과 홍수에 대한 대비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강의 수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라며 4대강 사업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번 사업을 통해 4대강의 수질을 대폭 개선함과 아울러 공사기간 중에 국민들이 마시는 물에는 전혀 문제가 없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4대강 사업에 대해 국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정부가 잘 인식하고 있으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공사를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다소 불편이 있을 수 있지만 보다 안전하고 깨끗한 강을 만들기 위한 불가피한 과정으로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환경부 산하 수질오염방제센터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에 1개씩 설치되는 것으로 4대강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감시 업무를 맡게 된다.

정 총리가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첫 공식 행사로 수질오염방제센터 출범식에 참석한 것은 4대강 준설에 따른 수질오염 우려를 불식시키고,친환경적 사업추진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 총리는 출범식 이후 4대강 살리기 선도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안동 2지구 생태하천 조성사업 현장'을 찾아 사업추진 현황을 보고 받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이에 야당은 "4대강 사업은 대운하의 또 다른 이름이며 환경 파괴를 불러오고,과도한 예산집중으로 복지예산과 지역예산 등 서민 예산이 위협받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