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투자 '자기자본 30%이내'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에 대한 투자 한도가 자기자본의 30% 이내로 제한된다.
금융감독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금융투자업자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 모범 규준'을 마련해 내달 말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송경철 금감원 금융투자업서비스본부장은 "금융투자업자는 여신을 전문으로 취급하지 않아 여신성 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에 미흡했다"며 "부동산 PF 관련 관리 시스템과 내부 통제 절차 등을 개선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모범 규준은 부동산 PF 투자와 관련,'30% 룰'을 도입했다. 증권사 등이 자기자본의 30% 이내에서만 부동산 PF 대출채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치다. 여신 기능이 있는 종금업을 겸영하는 회사의 경우는 '대출채권의 30% 이내'까지 부동산 PF에 투자할 수 있다.
또 신용등급이 낮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에 대한 매입보장약정 체결을 제한하기 위해 신용회피 조항의 최저 신용등급을 'A3'에서 'A2'로 상향 조정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금융투자업자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 모범 규준'을 마련해 내달 말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송경철 금감원 금융투자업서비스본부장은 "금융투자업자는 여신을 전문으로 취급하지 않아 여신성 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에 미흡했다"며 "부동산 PF 관련 관리 시스템과 내부 통제 절차 등을 개선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모범 규준은 부동산 PF 투자와 관련,'30% 룰'을 도입했다. 증권사 등이 자기자본의 30% 이내에서만 부동산 PF 대출채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조치다. 여신 기능이 있는 종금업을 겸영하는 회사의 경우는 '대출채권의 30% 이내'까지 부동산 PF에 투자할 수 있다.
또 신용등급이 낮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에 대한 매입보장약정 체결을 제한하기 위해 신용회피 조항의 최저 신용등급을 'A3'에서 'A2'로 상향 조정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