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기아차 노조에도 실용바람 불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21대 금속노조 기아자동차 지부장을 새로 뽑는 선거 과정에서 기호 4번 박홍귀 후보(전조합원 민주노동자 투쟁위원회)와 기호 5번 김성락 후보(금속의 힘)는 크게 대비됐다. 우선 선거 벽보에서부터 차이가 났다. 중도 실리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박 후보는 작업복 차림에 정면을 직시하는 모습을, '강성 중의 강성'으로 꼽히는 김 후보는 머리에 띠를 두른 채 먼 하늘을 응시하는 모습을 각각 보여줬다.
두 사람은 지난 27일 1차 투표에서 다른 3명의 후보를 제치고 다음 달 3일 결선에서 맞붙게 됐다. 온건파와 강경파의 양자대결 구도가 형성된 것은 일반 조합원들의 복잡한 속내를 반영했다는 평가다. 끝없는 정치 투쟁에 대한 염증과 고용 안정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보여줬다는 것이다.
두 후보의 선거 공약은 '물과 불'이다. 박 후보는 투쟁적인 노사관계 청산과 금속노조의 지역지부 전환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 3월에도 조합원 1만2000여 명으로부터 같은 안건에 대한 동의 서명을 받는 등 금속노조와 정면 충돌하기도 했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에 끌려다니면서 투쟁만을 일삼는 대신 조합원 복지에 더 신경쓰겠다"는 취지다.
유세 과정에선 "국민 여론과 조합원 의식이 변하고 있는데 노동운동만 바뀌지 않는 이유는 일방적인 정치 투쟁과 과도한 선명성 경쟁 때문"이라며 "노조가 앞장서 신차 품질과 생산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강경파인 김 후보의 공약은 정반대다. 기아차가 국내에서 만드는 차종을 해외로 이전하지 못하도록 못박고,상여금을 800%로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사내 모듈공장을 짓는 한편 경기 광명시 소하공장에 미래형 자동차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경영전략'까지 내걸었다. 금속노조와 공조하고 있는 그는 금속노조 대의원 및 중앙위원직도 맡고 있다.
3만여 명의 기아차 조합원들은 향후 2년간 노조 활동을 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있다.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19년 연속 파업한 강성 사업장이 실용 노선으로 바뀔 수도,정치 파업의 선봉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앞서 실리주의를 택한 현대자동차 노조에 이어 기아차 지부장 선거에도 관심을 갖는 이유다.
조재길 산업부 기자 road@hankyung.com
두 사람은 지난 27일 1차 투표에서 다른 3명의 후보를 제치고 다음 달 3일 결선에서 맞붙게 됐다. 온건파와 강경파의 양자대결 구도가 형성된 것은 일반 조합원들의 복잡한 속내를 반영했다는 평가다. 끝없는 정치 투쟁에 대한 염증과 고용 안정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보여줬다는 것이다.
두 후보의 선거 공약은 '물과 불'이다. 박 후보는 투쟁적인 노사관계 청산과 금속노조의 지역지부 전환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 3월에도 조합원 1만2000여 명으로부터 같은 안건에 대한 동의 서명을 받는 등 금속노조와 정면 충돌하기도 했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에 끌려다니면서 투쟁만을 일삼는 대신 조합원 복지에 더 신경쓰겠다"는 취지다.
유세 과정에선 "국민 여론과 조합원 의식이 변하고 있는데 노동운동만 바뀌지 않는 이유는 일방적인 정치 투쟁과 과도한 선명성 경쟁 때문"이라며 "노조가 앞장서 신차 품질과 생산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강경파인 김 후보의 공약은 정반대다. 기아차가 국내에서 만드는 차종을 해외로 이전하지 못하도록 못박고,상여금을 800%로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사내 모듈공장을 짓는 한편 경기 광명시 소하공장에 미래형 자동차 생산체제를 구축한다는 '경영전략'까지 내걸었다. 금속노조와 공조하고 있는 그는 금속노조 대의원 및 중앙위원직도 맡고 있다.
3만여 명의 기아차 조합원들은 향후 2년간 노조 활동을 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있다.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19년 연속 파업한 강성 사업장이 실용 노선으로 바뀔 수도,정치 파업의 선봉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앞서 실리주의를 택한 현대자동차 노조에 이어 기아차 지부장 선거에도 관심을 갖는 이유다.
조재길 산업부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