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도스 공격 IP는 北 체신청"…국정원 7월에 알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7월 발생한 '디도스'(DDoS ·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에 동원된 IP(인터넷주소)가 북한 체신청이 사용해 온 IP라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원세훈 국정원장은 29일 국회 정보위의 국정감사에서 "디도스 공격 때 들어온 중국 회선 중 북 체신청이 임대해 쓰는 IP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 같은 사실을 7월에 이미 인지하고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디도스 공격이 있은 후 3일 만인 7월10일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디도스 공격에 북한 인민부 총참모부가 개입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었다.
국정원이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디도스 공격의 진원지임을 분명히 한 것은 테러의 가장 중요한 단서인 IP 추적에 성공했음을 뜻한다. 한 대북 소식통은 "당시 국정원은 북한 인민부 총참모부가 디도스 공격에 개입했다는 사실을 밝힐 때 이미 정황은 포착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
원세훈 국정원장은 29일 국회 정보위의 국정감사에서 "디도스 공격 때 들어온 중국 회선 중 북 체신청이 임대해 쓰는 IP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 같은 사실을 7월에 이미 인지하고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디도스 공격이 있은 후 3일 만인 7월10일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디도스 공격에 북한 인민부 총참모부가 개입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었다.
국정원이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디도스 공격의 진원지임을 분명히 한 것은 테러의 가장 중요한 단서인 IP 추적에 성공했음을 뜻한다. 한 대북 소식통은 "당시 국정원은 북한 인민부 총참모부가 디도스 공격에 개입했다는 사실을 밝힐 때 이미 정황은 포착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