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무역흑자 36억弗…경기회복 조짐 뚜렷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입 감소율 최저
10월 수출 감소율이 2개월째 한자릿수를 기록하면서 경기 회복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15일 관세청이 발표한 '10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34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5% 감소했다.
전년 동기대비 수출 감소율은 지난달에 이어 한자릿수를 기록했으며 최근 4개월째 감소율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수입은 303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0% 줄었다. 이는 올해 들어 최저 감소율과 최대 금액으로 기록된 것이다.
무역수지는 36억3000만달러로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9월과 비교해서는 수출은 1.6% 감소했으며, 수입은 1.8% 증가해 흑자 폭이 소폭 줄었다. 총 교역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두번째를 기록했다.
수출의 경우 금(54.4%), 반도체(39.6%), 액정장치(36.6%), 가전제품(4.1%) 등 주력제품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선박은 전년보다 9.6%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보다 원자재(18.6%), 자본재(31.3%), 소비재(10.1%)가 모두 감소했고 특히 원자재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1~10월 누계 수출은 2940억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9.7% 감소했으며, 수입은 2603억달러로 31.5% 줄었다.
지난달 수출액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3000만달러 줄었으며, 수입은 7000만달러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37억9000만달러)보다 1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관세청은 "경기 회복 기대감에 따른 수출 확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원유 등 원자재의 수입 증가로 앞으로 교역규모는 확대될 것"이라며 "월 25억~30억달러 안팎의 흑자가 예상되며 11월에는 수출입 증가율이 모두 플러스로 전환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0월 수출 감소율이 2개월째 한자릿수를 기록하면서 경기 회복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15일 관세청이 발표한 '10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34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5% 감소했다.
전년 동기대비 수출 감소율은 지난달에 이어 한자릿수를 기록했으며 최근 4개월째 감소율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수입은 303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0% 줄었다. 이는 올해 들어 최저 감소율과 최대 금액으로 기록된 것이다.
무역수지는 36억3000만달러로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9월과 비교해서는 수출은 1.6% 감소했으며, 수입은 1.8% 증가해 흑자 폭이 소폭 줄었다. 총 교역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두번째를 기록했다.
수출의 경우 금(54.4%), 반도체(39.6%), 액정장치(36.6%), 가전제품(4.1%) 등 주력제품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선박은 전년보다 9.6%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보다 원자재(18.6%), 자본재(31.3%), 소비재(10.1%)가 모두 감소했고 특히 원자재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1~10월 누계 수출은 2940억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9.7% 감소했으며, 수입은 2603억달러로 31.5% 줄었다.
지난달 수출액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3000만달러 줄었으며, 수입은 7000만달러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37억9000만달러)보다 1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관세청은 "경기 회복 기대감에 따른 수출 확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원유 등 원자재의 수입 증가로 앞으로 교역규모는 확대될 것"이라며 "월 25억~30억달러 안팎의 흑자가 예상되며 11월에는 수출입 증가율이 모두 플러스로 전환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