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원 칼럼] 저신장증 치료는 기계 맹신보단 풍부한 임상경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정한의원 원장(서울 삼성동)
한 공중파방송 프로그램에서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키에서 다리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남성이 52%,여성이 53%였다. 다른 조사결과를 보면 1997년을 기점으로 8년 만에 성인 남성의 키는 2.4㎝,다리 길이는 5.2㎝ 커졌다고 한다.
박태환 선수는 키가 181.5㎝로 1998년 이후 남자수영 국가대표 선수들 평균(178.29㎝)보다 3.21㎝ 크며 어깨 폭은 52.22㎝로 평균(46㎝)보다 6.22㎝나 넓다. 피겨스케이팅의 김연아 선수도 과거 한국여성의 일반적인 체형과 달리 긴 다리와 긴 팔이 몸 전체적인 선을 아름답게 만들어 우아한 연기를 해내고 있다.
며칠 전 필자를 찾아온 초등학교 5학년 축구선수인 김준호군은 아버지가 168㎝,어머니 148㎝로 키가 안 클까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현재 준호의 키는 137㎝이기 때문에 또래의 평균 키보다 11.4㎝ 정도 작았다. 몸싸움을 해야 하는 운동선수여서 작은 키가 더욱 문제가 됐다. 체격이 왜소해서 저돌적인 상대편을 방어할 때 밀리는 편인 데다 운동선수로 성공하려면 좀 더 키를 키워야 한다는 생각에 부모와 함께 찾아왔다고 말했다.
키가 큰 선수가 절대 근력 면에서 우위를 보이기 때문에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해도 평균 키 이하의 학생이라면 미리 진로를 바꾸는 것도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막연한 기대감만으로 운동을 계속하다가 성인이 된 뒤에도 최종 키가 170㎝가 되지 않아 결국 운동을 포기한다면 학생의 인생은 어떻게 되겠는가.
최종 키 예측에는 TW3라는 검사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성장판 폐쇄 시기까지 가장 느리게 골화가 진행되는 손목 이하 손가락뼈 13개에 각각 점수를 매겨 키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 검사는 유럽과 미국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우리 어린이에게 그대로 적용하면 최대 10㎝까지 오차가 난다. 따라서 TW3라는 검사를 받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의 심층 상담을 통해서 자녀의 뼈 나이와 최종 키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