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는 1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긴급 확대 운영위원회를 열고 최근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신문부수공사기구(ABC)의 부수 공사(公査)는 신문업계의 의견과 현실을 충실히 반영해 시행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정부 광고 집행을 부수 공사와 연계하는 것은 자칫 정부가 언론을 통제하려는 의도로 비쳐질 수 있으므로 시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5월 문화체육관광부는 ABC 부수공사제도 종합대책을 내놓으면서 중요한 언론정책의 변경 사항인 부수 공사와 정부 광고 연계 방침을 신문업계의 사전 여론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해 비판을 받아왔다.

운영위원회에서 각 신문사 발행인들은 "ABC 부수 공사는 합리적 · 과학적인 광고 집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에 성실히 참여할 의향이 있지만 부수공사 제도를 정부 광고와 연계해 언론을 옥죄려는 수단으로 삼아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발행인들은 또 "정부가 부수 공사에 참여하는 신문사에 한해 정부 광고를 우선 배정키로 하면서 신문업계 의견이나 현실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민간 자율로 결정해야 할 공사 기준 및 공개 시기 등 실무사항까지 정부가 일일이 관여한 정황이 드러난 것은 언론에 대한 정부의 통제력 확대 기도로 비쳐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행 부수 공사 방법이 합리적이지 않아 과당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성급한 부수 공사 시행으로 신문 판매 경쟁이 과열될 경우 상당수 신문들이 존폐 위기에 빠져 언론의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이신문 구독자 외에 신문사의 뉴스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뉴스를 보는 독자는 물론 가정 · 회사 등에서 신문을 돌려보는 독자까지 신문 수용자에 포함시키는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이들은 밝혔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