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한 · 미 정상회담에서 북핵문제에 대한 공조방침이 재확인됨에 따라 의미있는 성과가 조기에 도출되길 기대한다. 특히 북핵 일괄타결 안으로 우리가 제시한 '그랜드 바겐'추진에 대한 합의나 북 · 미간 회담을 위한 보즈워스 대북정책특별대표의 방북이 12월8일로 확정된 것은 장기간 답보상태였던 북핵문제 해결의 여정이 한발 빨라지고 있다는 느낌도 갖게 한다.

그러나 양국간 또 다른 공동 관심사이자 주요 현안인 FTA 문제에서는 적지않은 아쉬움도 남겼다. 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 직후 회견에서 "FTA가 가지는 경제적 · 전략적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FTA 진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 "양국이 무역관계를 확대해서 혜택을 볼 수 있다. 이 대통령과 담당자들에게 협정의 진전을 위해 같이 노력하고 협력해야겠다고 말했다"며 FTA에 큰 관심을 피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공유한 정도이고 '진전을 위해 상호노력한다'는 수준의 선언적 합의에 그쳤다는 인상을 지울 길이 없다.

FTA 문제에 대한 미국측 고민은 이해도 된다. 민주당의 전통적인 주요 지지기반이 자동차산업을 비롯한 노동자 계층이라는 점부터 공룡같은 자국 자동차산업의 취약한 대외경쟁력과 엄청난 무역불균형 문제까지 여기에 연결돼 있다. 더구나 1년 후에는 하원 전체와 상원 3분의 1을 뽑는 중간선거도 있으니 미국내의 여론 동향도 의식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난관을 뚫고 꼭 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정치지도자가 할 일이고,그간 미국이 역설해온 '장벽없는 자유무역'을 선도하는 길이기도 하다. 오바마 대통령이 "한 · 미FTA가 전략적으로도 양국관계를 강화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한 것에도 주목한다. FTA를 중심으로 한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언임에 조금도 의심이 가지 않는다.

이제 우리 정부와 국회도 좀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특히 관련부처는 미국내 사정만 바라볼 게 아니라 상 · 하원과 미 행정부의 주무기관을 상대로 다각도로 돌파구를 모색할 때다. 기존 합의안의 골격을 흔들지 않는 범위내에서 필요하다면 보완책도 강구해야 한다. 이제부터가 더 중요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