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대안 심의기구인 민관합동위원회는 오는 28일 세종시 예정지역과 대덕연구단지 등을 방문,현장을 확인하고 주민 여론을 직접 청취하기로 했다.

세종시 자족 기능 보강의 핵심인 기업 등을 유치하기 위한 세부적인 유인책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충청권은 물론 국민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정운찬 국무총리도 23일 제2차 민관합동위 전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세종시 발전 방안은 국민이 평가할 수 있도록 구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관합동위는 세종시 방문 이후 주민 여론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개발원(KDI) 등 3개 기관이 분석한 세종시 자족성 보완 방안과 행정기관 이전 문제에 대한 보고를 받고 내주 초까지 검토를 끝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3개 국책 연구기관은 이번 주 중 세부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하고 자족용지를 구체화하기 위한 공동 연찬회를 개최키로 했다.

이어 내달 초에는 3개 연구기관이 제시한 복수의 세종시 대안을 놓고 2~3회가량 학회세미나를 통해 검증한 뒤 이르면 10일께 최종 대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민관합동위는 최종 대안이 확정되면 종합 공청회를 열어 국민의 냉철한 평가를 받는 한편 여론을 설득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세종시의 성격을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가닥을 잡기로 함에 따라 기업 등에 원형지 개발 허용 등이 가능하도록 세종시특별법을 개정하는 한편 세제 지원 방안을 위해 조세특례제한법도 손을 볼 예정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