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공(전공자율선택제) 선발이 대폭 확대된 2025학년도 대입에서 한양대와 고려대의 무전공 학과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전공은 입학 때 전공을 정하지 않고 2학년에 진학할 시기에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다.9일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에 따르면 2025학년도 대입 무전공 학과 수시 전형에서 한양대 한양인터칼리지학부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주요 대학 중 가장 높았다. 경쟁률은 인문계열 141.13 대 1, 자연계열 164.34 대 1이다.정시 모집에선 고려대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다군에서 고려대 학부대학 일반전형 경쟁률은 69.56 대 1을 기록했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무전공 선발을 실시한 대학이 기존 6곳에서 15곳으로 크게 늘어 지원자도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이미경 기자
개강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부가 올해부터 도입하기로 한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구독료가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 교육부와 발행사들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서다.9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와 AI 교과서 발행사들은 지난주 구독료 협상을 했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목별로 차이가 있지만 교육부는 3만~5만원대 구독료를 제시했고, 발행사들은 두 배 정도를 희망하고 있다.발행사들은 AI 교과서가 올해부터 전면 도입된다는 전제하에 비용을 투입하고 교과서를 개발해왔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교육부가 원하는 수준에 맞추기 위해 수백억원을 투자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AI 교과서의 지위를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AI 교과서의 입지가 흔들리게 됐다.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공이 다시 국회로 넘어갔지만, 언제 다시 비슷한 법안이 통과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정부는 의무 도입을 1년 유예하고, 올해는 원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채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발행사는 몇 개의 학교가 AI 교과서를 채택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구독료까지 낮추면 손실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교육부는 학교에서 2월 내로 AI 교과서 채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독료 협상도 이달 내에는 마무리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발행사 관계자는 “수백억원을 투자한 발행사 입장에서는 그동안의 투자가 매몰 비용이 될까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고재연 기자
“얼굴 확인만으로 인증한다고 하는데 보안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까 불안하네요.”직장인 박모 씨(28)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범사업 대상 지역(대전 서구)에 살지만 보안 문제를 우려해 아직 발급 신청을 하지 않았다.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과 똑같은 법적 효력을 지닌 모바일 기기 속 신분증이다. 행안부는 지난해 말 세종시 등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해 이달부터 단계적으로 대상 지역을 확대해 다음달 28일 전국에서 서비스하겠다는 목표다. 그러나 안면 인식을 제외하고 지문 인증 등 다른 보안 기술이 제외되면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얼굴 인식되고, 지문 인식 안 되고9일 행안부와 업계에 따르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할 때 본인 인증 수단으로 얼굴 인증만 포함됐다. 휴대폰 화면으로 촬영한 자신의 사진과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 사진을 비교해 본인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행안부는 애초 보안과 편의성 등을 고려해 지문 인증을 포함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빼기로 결정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문 센서가 없는 휴대폰 기종도 있고,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다른 신분증에도 지문 인증이 없어 제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다른 모바일 신분증보다 보안성이 철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국회입법조사처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대상 및 현황 자료에 따르면 모바일 신분증 발급 수량은 국가보훈등록증 66만 명, 공무원증 110만 명, 운전면허증 3200만 명, 주민등록증 4500만 명 등이다.얼굴 인식 방식을 적용한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