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회 국가품질경영대회] (기고) 고객과 통한 제품이 좋은 품질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대한민국이 온갖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 11위의 무역대국으로 성장한 원동력은 바로 '품질경영'을 해왔기 때문이다. 지금의 글로벌 경제위기를 가장 빠르게 극복하고 있는 것도 품질경영이다.
우리나라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했다고 한다. 바로 창의적인 사고와 아이디어,어느 민족도 흉내낼 수 없을만큼 빼어난 손재주 등이 우리 민족을 품질경영에서 남다른 경쟁력을 가지도록 한 요인들이다. 이는 조선,반도체,휴대폰,자동차 등과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속속 등장시켰다. 특히 외환위기를 통해 외적요인에 굴복하지 않고 품질경영에 심혈을 기울이면 제 아무리 힘든 상황이라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기업은 품질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에 망설이지 않았다. 연구개발(R&D) 투자와 현장의 품질경영활동을 지속했다.
지난날에는 상품 자체의 성능이 우수한 것이 최상의 품질로 인식됐지만 지금은 성능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를 어느 정도까지 반영했는지가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들어 녹색성장이 관심을 끄는 것도 인류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까닭이다. 따라서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품질경영활동을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국가 차원에서 매진해야 한다. 그래야만 먼 훗날 국민의 행복지수가 높아져 '월드 베스트 품질국가'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했다고 한다. 바로 창의적인 사고와 아이디어,어느 민족도 흉내낼 수 없을만큼 빼어난 손재주 등이 우리 민족을 품질경영에서 남다른 경쟁력을 가지도록 한 요인들이다. 이는 조선,반도체,휴대폰,자동차 등과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속속 등장시켰다. 특히 외환위기를 통해 외적요인에 굴복하지 않고 품질경영에 심혈을 기울이면 제 아무리 힘든 상황이라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기업은 품질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에 망설이지 않았다. 연구개발(R&D) 투자와 현장의 품질경영활동을 지속했다.
지난날에는 상품 자체의 성능이 우수한 것이 최상의 품질로 인식됐지만 지금은 성능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를 어느 정도까지 반영했는지가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들어 녹색성장이 관심을 끄는 것도 인류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까닭이다. 따라서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품질경영활동을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국가 차원에서 매진해야 한다. 그래야만 먼 훗날 국민의 행복지수가 높아져 '월드 베스트 품질국가'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