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를 풀기 위한 노사정위원회 6자 회담이 끝납니다. 내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는 정부와 기업, 시행연기를 주장하는 노조의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결렬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12월 총파업과 대정부투쟁을 선언한 상태여서 정부와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최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29일 시작된 노사정위원회는 오늘까지 총 10차례의 협상을 진행해왔습니다. 오늘 최종담판이 예정되어 있지만 타결전망은 불투명합니다. 정부와 기업이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를 내년 1월1일부터 시행하고 교섭창구를 단일화 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는 법 시행을 전제로 한 논의는 의미가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정책연대를 선언하고 총파업 투쟁을 준비하는 배수진을 치고 있습니다. 13년만에 전면 총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자칫 기업실적과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미 대형사업장이 포함된 산별노조는 오늘부터 총파업 찬반투표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삼성그룹은 노조가 없지만 복수노조 허용시 양 노총이 모두 지부설립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이고, 현대기아차는 새 지도부 선출로 연내에 임금협상을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하이닉스 등의 IT기업들 뿐만아니라 정유와 화학, 통신, 운송기업까지 총파업에 휩쓸릴 경우 사실상 한국경제는 멈춰서게 됩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실제로 총파업까지 가려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라면서도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는 예정대로 시행돼야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정부와 기업들도 복수노조와 노조전임자 문제가 경제회생의 장애물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원칙을 표명한 만큼 협상연장 등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겉으로는 강경한 입장이지만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논란이 연말을 앞두고 엉뚱한 방향으로 확대되지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WOWTV NEWS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