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코펜하겐 기후회의 참석 '고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합의 힘들다 전망에 불참 '가닥'
오바마 참석 등 상황변화 주시
오바마 참석 등 상황변화 주시
이명박 대통령이 내달 7일부터 18일까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의 참석 여부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는 2012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협약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청와대는 당초 이 대통령이 이 회의에 불참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코펜하겐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현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을 놓고 이견이 커 최종 합의는 2010년으로 미루고 대신 포괄적인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더욱이 유럽 이외의 주요 국가 정상들의 참석이 저조한 것도 코펜하겐행 포기의 한 이유였다.
그렇지만 지난 25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다는 발표가 있자 분위기가 조금 달라졌다. 오바마 대통령이 가게 되면 회의 분위기를 바꿔 놓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군다나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잇달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내놓았다.
우리나라도 지난 17일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를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까지 줄이는 방안을 확정한 만큼 이 대통령이 정상회의에서 직접 우리의 방안을 설명하는 게 좋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7일 "아직까지 이 대통령이 갈지 여부에 대해선 결정되지 않았다"며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
청와대는 당초 이 대통령이 이 회의에 불참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코펜하겐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현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을 놓고 이견이 커 최종 합의는 2010년으로 미루고 대신 포괄적인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더욱이 유럽 이외의 주요 국가 정상들의 참석이 저조한 것도 코펜하겐행 포기의 한 이유였다.
그렇지만 지난 25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다는 발표가 있자 분위기가 조금 달라졌다. 오바마 대통령이 가게 되면 회의 분위기를 바꿔 놓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군다나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잇달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내놓았다.
우리나라도 지난 17일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를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까지 줄이는 방안을 확정한 만큼 이 대통령이 정상회의에서 직접 우리의 방안을 설명하는 게 좋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7일 "아직까지 이 대통령이 갈지 여부에 대해선 결정되지 않았다"며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