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국가 백년대계 위해 세종시 수정 않고 갈수 없다"
승부수는 던져졌다.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세종시 수정의 불가피성을 호소하고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하면서 정면돌파를 택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계기로 세종시 수정 드라이브를 위해 여론 흐름을 우호적으로 돌려 놓고 액션플랜을 가동하는 데 힘을 쏟을 방침이다. 정운찬 국무총리도 28일 세종시를 다시 방문,수정 의지를 거듭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 수정에 반대 입장을 밝혔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29일 충북 옥천행을 예고하고 있어 주말이 1차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백년대계 위해 수정 불가피

청와대 내부에선 이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을 놓고 국민 앞에 서는 시점과 관련한 논란이 있었다. 12월 입장을 밝히는 것을 검토했지만 예상보다 앞당겨졌다. "총리 뒤에 숨는다"는 야당의 비판을 고려했다. 또 당초 대국민 담화나 기자회견 주장이 우세했지만 일방적인 의견 전달로 비칠 수 있어 국민과의 소통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에 관한 공개적 입장 표명을 자제해 왔지만 사석에선 몇 달 전부터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수정하지 않고 갈 수 없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나타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그냥 원안대로 가면 나도 편하다. 개인적으로는 손해지만 국가의 미래나 다음 정권을 위해서라도 침묵을 지킬 수 없다. 양심상 원안대로 추진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을 수차례 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국가의 기초를 닦는 데 힘을 쏟겠다. 정권에는 도움이 안 될지라도 국가에 도움이 된다면 오해를 받는 한이 있더라도 그것을 택해야 한다"며 수정 추진 의지를 다졌다고 또 다른 참모가 전했다. 이 대통령으로선 정치적 승부를 건 셈이다.

이 대통령의 향후 발걸음은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30일 정몽준 대표를 비롯한 한나라당 최고위원단을 청와대로 초청,조찬회동을 갖고 세종시 대책 등 정국 현안을 논의한다. 집안 단속부터 하겠다는 뜻이다. '대통령과의 대화' 이후 이뤄지는 첫 자리여서 세종시 후속대책을 둘러싼 당 · 청 간 긴밀한 협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종시 수정에 대한 친박(친박근혜)계의 반대가 심한 만큼 이 대통령이 당내 반발을 진정시키기 위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여권 관계자는 "세종시 수정의 성공 여부는 당이 얼마나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해 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그런 차원에서 이 대통령이 당 지도부에 직접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전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대화' 이후 국정운영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당장 이 대통령은 28~29일 주요 공공기관장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하반기 공공기관 선진화 워크숍'을 주재하고 내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보고받는다. 내달 10일부터 시작되는 정부부처 업무보고를 통해 내년 큰 틀의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한다.

수정안 조속히 마무리

이 대통령의 국민과 대화 후 세종시 수정에 대한 성패 여부는 여론에 달렸다. 청와대 참모는 "이 대통령이 수정안 필요성에 대해 진솔하게 입장을 밝힌 만큼 국민들도 이해를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청와대와 총리실은 세종시 수정 문제를 조속히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늦어도 내년 2월엔 관련 입법을 끝낸다는 방침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