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공공기관,중소기업 등에서 일하는 청년 인턴 6만명 이상이 이달 중순까지 계약이 만료돼 구직자 대열에 합류한다. 이들은 대부분 졸업자여서 계약이 끝난 후 다른 일을 구하지 못할 경우 실업자로 분류된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정부의 일자리 대책에 따라 청년 인턴으로 고용된 인원 가운데 이달 중에만 3만명 이상이 6개월~1년간의 계약이 끝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나서야 한다. 지난달 말까지 계약이 끝난 인원을 합치면 6만여명에 달한다.

이들 중 일하던 곳에서 정규직으로 채용된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1만2000명의 인턴을 고용한 공공기관의 경우 지난달까지 계약을 대부분 끝냈으나 인턴 중 일부라도 정규직으로 채용한 곳은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공공기관들의 경우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계획에 따라 앞으로 정원의 10%를 감축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에 나설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중앙부처에서 일하던 행정인턴 5000명도 이달 중순께 계약이 끝난다.

청년 인턴이 한꺼번에 실업자 대열에 합류할 경우 지난 10월 7.5%에 달했던 청년실업률은 9%대까지 증가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